민선3기를 맞는 자치단체장의 자세
 91년 3월 지방의회 선거와 95년 6월 단체장 선거를 통해 우리나라의 지방자치가 다시 역사속에 등장했다.
 기대보다는 우려속에 출발한 지방자치였지만 11년이 지난 오늘날에는 우리의 정치 행정은 물론 국민생활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몰고 오면서 21C 우리나라가 새로운 도약을 위한 가장 성공적인 제도개혁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95년 자치단체장이 직접 선출되면서 이러한 변화가 보다 가속화되었고 “지방화”의 추세는 거역할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이제 지방자치의 핵이라 할 수 있는 민선3기 출범을 맞았다.
 민선2기 까지가 민선자치의 준비과정이었다면 이제는 과거 중앙정부 주도하에 의한 획일적인 경영방식에서 탈피해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자기변신과 끊임없는 개혁으로 생산성 향상과 고객(주민)이 요구하는 행정 서비스를 창출해야 한다는 과업을 보다 구체적인 대안과 물증을 수요자인 주민에게 보여주어야할 시기에 봉착한 것이다.
 급변하는 행정환경속에서 세계화, 지방화(Glocalization)를 동시에 추구해야만 하는 지방자치단체는 그 동안의 짧은 민선자치를 근간으로 단순히 주변 환경에 순응하는 차원을 뛰어넘어 스스로 자기변신과 끊임없는 개혁으로 생산성 향상과 고객이 요구하는 행정서비스를 창출해야 하는 지방자치발전의 혁명기에 도래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지난 관선시대와는 달리 구민이나 각계각층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내 세우고 지역현안에 대해 공동으로 해결하려는 욕구가 날로 증대하면서 민원의 양도 그만큼 복잡 다양해졌다.
 이러한 시기에 민선 자치단체장의 역할은 어느때 보다 중요하고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성공적인 지방자치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을 이끌어가는 자치단체장의 올바른 역할정립이 중대하다 하겠다.
 주민의 기대심리와 민선단체장의 고민
 많은 우려 그리고 불충분한 여건속에 출발한 지방자치가 민선3기를 맞이한 지금 짧은 기간에 놀라울 정도로 달라진 지방행정의 모습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과거 임명단체장의 제1지향점은 중앙정부의 의지와 임명권자의 의중파악이었다. 따라서 관선단체장에게는 장마철 침수지역 확인하는 것보다 임명권자에게 올리는 보고자료 작성이 더 중요한 일이었고 임명권자의 의중파악이 최대의 과제였다.
 그러나 민선자치 시대의 개막은 이러한 불합리한 행정방향을 완전히 바뀌어 놓았다. 주민의 생활현장 곳곳마다 민선단체장은 직접 방문하여 쓰레기는 잘 수거되고 있는지, 가로등은 잘 작동되는지, 수돗물은 잘 나오는지 등을 일일이 체크하고 주민의 의견을 듣고 그것을 행정에 반영하고 또 그 결과를 확인해야 만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 자치단체장이 실시한 모든 시책의 최종 평가자는 그 지역 주민이며 주민들은 선거로써 단체장을 심판하기 때문이다.
 지방자치의 가장 큰 장점은 과거 중앙집권적 행정의 획일성을 극복하고 지역실정에 맞는 행정을 펼쳐 지역 주민의 행정 수요를 정책에 최대한 반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지역주민들은 자치단체장을 뽑을 때 굉장히 많은 기대와 희망을 걸고 그것들이 조속히 가시적으로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이것은 지방자치를 시작해 정착해 나가는 단계로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지방자치단체는 작은 돛단배 같이 선장의 뜻으로 바로 진로방향과 목표가 바뀌고 그 성과가 바로 나타난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작은정부지만 복잡다양하고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만큼 큰 항해를 해야하는 항공모함 같은 존재로 여겨야 한다.
 따라서 인기만을 찾아 근시안적인 행정 마인드로 지방정부를 운영한다면 주민들이 원하는 그런 복리를 찾기 힘들고 반드시 시행착오를 거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민주주의에 입각한 합리적인 공직원리에 중심을 잃지 말아야 한다. 특히 민주적 리더십과 형평의 원칙에 충실해 지역주민들과 함께 호흡하고 참여해 나가면서 정치가로서의 정치적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특히 주민들에게 비젼을 제시하고 희망을 심어 사회통합을 이끌어내야 한다. 의회와의 관계, 기초자치단체간의 관계 상급기관과의 관계 등에서의 원만한 관계 설정은 정치적 역량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