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해상풍력발전은 신재생에너지에 포함된다. 상당한 잠재력을 갖고 있고, 유용하다고 분석된다. 그래도 바다에서 이뤄지는 만큼, 지역 주민과 수산업 사이의 갈등이 존재한다. 이들을 무시하면, 개발하기 어렵다. 결국 해상풍력발전이 지속가능하려면, 지역 주민과 상생을 모색하고 가치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인천지역 해상풍력발전 입지 조건은 좋다. 비교적 바다 수심(20~50m)이 낮고, 평균 풍속도 초속 7m 이상이어서다. 여기에 수도권에 위치해 전력수요 지역계통에 유리하다. 영흥화력 조기폐쇄 추진과 일자리 공급 확대도 한몫을 한다. 지리적·시기적 측면에서 그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정부는 얼마 전 2030년까지 해상풍력발전 100배 확대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인천시도 2027년까지 총사업비 19조 원 규모의 해상풍력 설치를 목표로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해상풍력 적합입지 발굴사업'지역으로 인천시와 군산시 등을 선정하고 국비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런 상황에서 민간 개발 사업자들은 군침을 흘릴 수밖에 없다. 많은 업자가 인천지역 해상풍력발전에 뛰어들거나 참여의 뜻을 내비친다. 하지만 사업자와 지역 어업인 간 불협화음은 풀어야 할 숙제다. 주민과 어업인들은 공공기관 주도로 어업활동 등 생업과 공존할 수 있고, 환경성을 확보한 입지를 사전조사해 상생할 수 있는 해상풍력 사업을 요청한다.

인천 해역은 군사활동과 연구·교육보전, 환경·생태관리, 안보구역 등으로 제한을 받는다. 옹진군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국제여객·크루즈터미널 등 해상교통과 주요 수산물 어장 보호, 경제적배타수역 등으로 지정된 상태. 그래서 해상풍력발전을 추진하는 업자와 지역 주민 간 갈등은 상존한다. 주민들은 사업지 선정 후 설명회로 이어지는 후속조치 위주의 절차가 아니라, 객관적 입지 자료를 기반으로 사전협의 후 사업지로 선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인천시는 이를 감안해 최근 '인천 해상풍력-지역산업 연계방안 연구 용역'에 착수했다. 해상풍력사업의 경제 효과를 지역산업과 연계시켜 극대화하기 위한 내용이다. 연말까지 진행되는 이번 용역에선 해상풍력사업과 지역산업을 연계한 부가가치 창출 방안 연구, 해상풍력단지 배후 항만 조성 타당성 효과분석, 최적 배후 항만 조성 방안 연구 등이 뒤따른다.

해상풍력 발전 단지는 한번 조성되면 30년 이상 유지·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만큼 이와 관련한 공공 인프라 구축 방안, 연구개발 지원과 인력 양성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이에 앞서 지역의 환경을 해치지 않고 주민과 상생할 계획을 우선 연구했으면 싶다.

/이문일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