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수단 발달 영향 수요 감소세
경인선 인천 구간 11곳 중 2곳뿐
전문가 “기업 광고판 전락 우려”
코레일 “적정성평가·심의 노력”
▲ 부기역명을 사용하고 있는 인천 경인선 제물포역(인천대학교 제물포 캠퍼스역)모습. /인천일보DB

인천지역에서 철도망을 운영 중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인천교통공사의 '역명 부기' 사업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 삶의 필수적인 공공재를 광고판으로 전락시켜 공공성을 잃게 된 데다 광고 수익률도 저조해 두 마리 토끼를 다 잃었다는 지적이다.

11일 코레일 등에 따르면 최근 서울·경기권 전철 1·4호선 및 경의·중앙선 71개 역에 대한 '역명 부기' 사용기관 모집 공고를 냈다. 71개 역 가운데 인천 구간에 있는 역은 경인선 부평·간석·주안·인천역 등 모두 9개 역이다.

그러나 인천 구간 역명 6부기 신청자는 단 1곳으로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이 유일했다. 기존 부평역 역명 부기 사용기관인 인천성모병원은 코레일 측에 재계약을 요구했고, 계약이 성사돼 2025년까지 기초 사용료로 연간 3940여만원을 내고 역명을 병기하기로 했다.

2018년부터 제물포역 역명에 이름을 새겨온 인천대 제물포 캠퍼스를 포함하면 인천 구간 역(총 11개 역) 중 이 사업에 참여한 기관은 2곳에 불과하다.

역명 부기는 역에서 가까운 거리의 공공기관이나 대학, 병원 등 다중이용시설에 역명 표기 권리를 판매하는 것으로 기존 역 이름 아래에 괄호 형태로 표기된다.

전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자연스럽게 브랜드가 노출돼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지만 최근에는 온라인 등 홍보 수단 발달과 다양화로 역명 부기 수요는 점차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지하철도 사정은 비슷했다. 인천지하철 1·2호선 전체 57개 역 중 역명 부기 계약이 체결된 곳은 30곳으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교통 전문가들은 인지도가 높은 도심지로 역명 부기 신청자가 쏠리고 있는 현상이 철도의 공공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유정훈 아주대 교통공학과 교수는 “서울 외곽에 있는 경기권과 인천권 같은 경우 기업들 관심이 없어 기초 사용료 단가도 떨어지고 매매도 잘 이뤄지지 않는다”며 “신청자가 나타나더라도 역명이 특정 기업명을 광고하는 광고판으로 전락해 공적 기능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코레일 관계자는 “심의위원회에서 규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적합한 기업·기관을 선정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적정성 평가와 심의를 거쳐 기관·기업에는 공신력 있는 홍보 기회를 제공하고, 역 이용객에게는 이용 편의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정회진 기자·이나라 수습기자 hijung@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