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는 진화하는 생물과 같다.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통해 생명력을 이어간다.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경쟁을 통해 성장한다. 사회적 합의를 통해 발전한다.

최근 기후변화, 해수면 상승, 집중폭우, 코로나19로 인해 급격한 도시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환경재앙을 극복하기 위해 바다를 품고 있는 선진 해양도시들은 새로운 정책을 만들고 시범사업을 통해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물 중심 도시계획(RESILIENCE WATER PLAN)을 만들고 있다. 노후 항만을 새로운 도시성장의 거점으로 재생시키고 있다.

인천은 해양도시, 항구도시, 개항도시이다. 변화와 혁신을 통한 새로운 ‘바다이음’이 필요하다. 물리적, 환경적, 문화적, 산업적, 경제적 연결이 필요하다.

2021년 바다를 품고 있는 해양도시, 인천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정책이 만들어졌다. 인천광역시 ‘해양친수도시 조성 기본계획’이다. 다양한 주민참여 과정을 통해 확정됐다. 인천의 숨겨진 명소를 발굴하기 위해 해양친수공간 시민발굴단(5회)이 운영됐다. 전문가를 초대해 보스턴, 뉴욕, 동경, 런던의 성공 노하우를 배우는 시민대학(4회)도 진행됐다. 시민, 전문가, 행정청이 참여해 후보지를 평가하고 정책 우선순위를 논의했던 3회에 걸친 시민포럼도 진행됐다. 해양도시 인천의 숨겨진 명소를 발굴하고 연결하고 육성하기 위한 기본계획과 전략, 핵심사업이 제안됐다. 친수공간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계획이다. 서울, 부산에도 없었던 국내 첫 성과다. 물 중심 도시계획(WATER PLAN)이 인천에서 시작됐다.

국내 최초로 ‘해양친수공간 조성 및 관리에 관한 조례(2021.9.30)’가 제정됐다. 해양친수과도 생겼고 ‘해양친수공간위원회(2021.11.16)’도 구성됐다. 해양친수도시 인천만들기를 위한 변화는 시작됐다.

하지만 아직 낙관할 수는 없다. 더 많은 연구와 노력, 실천이 요구된다. 깨끗한 바다를 만들고, 수질개선을 위한 막대한 예산도 필요하다. 기후변화, 재난재해 대응 도시발전을 위한 그린뉴딜, 탄소중립 등 국가정책 사업과의 연계도 중요하다. 비법정 계획이기 때문에 실행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극복해야 한다.

과거에는 없었던 인천의 새로운 변화, 이제 시작됐다. ‘물의 공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다. 작은 생각과 실천이 전체를 바꿀 수 있다. 인천을 사랑하는 많은 시민들과 전문가, 주민, 학생, 기업, 시민단체들의 더 많은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김경배 인하대 교수·㈔인천학회 총무이사



관련기사
[인천 미래 가꿈 프로젝트] 인천, 이제는 해양친수도시로 돌아갈 때 인천은 해양도시였다. 개항기 인천은 신문물(新文物)이 들어오던 해상관문이었다. 바다는 시민들을 향해 열려있었고, 시민들은 가까운 바다로 다가갈 수 있었다. 하지만 작은 포구는 근대 항만으로 변했고, 매립지와 바닷가 언덕에는 시가지가 조성됐다.해안에는 군 경계철책이 설치됐다. 지난해 기준 경계철책 길이가 142.05㎞이다. 해안선 전체의 12.2%에 해당한다. 무역항과 국제공항의 보안구역, 해안도로변 안전펜스도 바다로 가는 길목을 막고 있다. 특히, 중구는 해안선 대부분이 내항과 남항, 공항, 해안도로로 막혔다. 서구와 강화군은 경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