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서비스원은 돌봄 인력을 국가에서 고용하겠다는 목표로 도입된 공공기관이다.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로 꼽힌다. 지방자치단체 산하에 사회서비스원을 설립하고, 이곳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는 물론 민간 요양센터 노인요양보호사 등을 직접 고용하라는 게 정부 주문이다. 고용 목표는 2022년까지 6만3000여명에 이른다. 사회서비스원은 지난해부터 전국적으로 설립되기 시작했다.

인천시도 이에 따라 그제 '인천시 사회서비스원' 개원 기념식을 가졌다. 전국 9번째로 문을 열었다. 시는 지금까지 해왔던 인천복지재단 연구 기능을 넓히고 사회서비스원의 현장 지원 기능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다양한 지역 복지수요에 부응하고 내실 있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시 사회서비스원은 내년부터 어린이집과 장애인 복지시설 등 10여곳의 국·공립 시설을 운영한다. 부평과 강화엔 종합재가센터를 설치해 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각종 방문서비스를 벌일 예정이다. 도시와 농어촌이 복합된 인천의 특성을 반영해 지역 여건에 적합하고 특화한 사회서비스 지원 정책도 추진한다.

사회서비스원의 책임은 막중하다. 우선 민간기관에 대한 시설 점검과 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통해 민·관이 상생하도록 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시민들에게 양질의 복지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더불어 시민들이 '돌봄 문제'에서 위기를 겪을 경우 긴급지원할 수 있는 역량과 체계를 갖춰야 한다. 얼마 전 국민들을 안타깝게 했던 '라면 형제' 사건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가 간다. 어렵게 생활을 하는 이들에게 미리 대비책을 세웠으면, 발생하지 않았을 수 있는 사례다.

사회서비스원은 '시민복지'를 위해 탄생한 조직이다.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요양센터를 관리·감독하라는 정부 방침뿐만 아니라 정말 어렵게 사는 시민들을 위해 발벗고 나서야 한다. 그래야 공공이 책임지는 '돌봄'을 확대할 수 있지 않겠는가. 고르게 잘 살자는 '복지'는 오늘날 화두처럼 국민에게 각인된 단어다. 그만큼 시도 새로운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어 곤경에 처한 시민들이 즉시 복지혜택을 받도록 해야 한다. 사회서비스원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다. 시 사회복지원이 다른 자치단체와 달리 '인천형 복지 모델'을 제시하며 일을 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