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1인 가구가 점점 더 가난해지고 있다는 통계조사가 나왔다. 경인지방통계청이 지난 3일 내놓은 '수도권 1인 가구 현황'을 보면 지난해 경기지역 1인 가구는 129만1000가구로, 2015년(102만6000가구)보다 25.8%(26만4000가구) 늘었다. 일반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중도 2015년(23.4%)보다 2.9%p 늘어난 26.3%였다.

이들 1인 가구는 가난하다는 점이다. 2015년 9만5000가구에 불과했던 기초생활 수급 1인 가구는 지난해 15만 가구로 늘었다. 증가율이 58.2%에 달한다. 노인 1인 가구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2015년 19만5000가구였던 노인 1인가구가 26만8000명으로 늘었다. 증가율로 보더라도 경기도가 2015년 대비 37.4%로, 인천(35.5%)과 서울(27.9%)보다 높다.

특히 여성 비율이 70.4%에 달하고 있다. 문제는 2인 이상 가구보다 상대적 비곤율이 높은 1인 가구들이 코로나19 위기 사회에서 더 휘청댈 수 있다는 점이다. 최현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이 지난 6월 통계청의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활용해 2017∼2018년 연간소득 기준으로 상대적 빈곤율을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상대적 빈곤율은 17.1%에서 16.3%로 약 0.8%포인트 하락했다. 가구 내 '기댈 곳'이 없는 1인 가구의 경우 일자리를 잃거나 급여가 줄어들 경우 경제적 타격이 더 크기 때문이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고립으로 상황이 더욱 악화할 가능성도 있다. 가난해지는 1인 가구 지원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1인 가구는 다양한 영역에서 불평등한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1인 취약가구에 대한 일자리나 소득 지원, 다양한 사회서비스 제공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경기도는 내년부터 1인 가구 맞춤형 지원정책 마련에 나섰다고 한다.

도의회도 예산마련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가난한 1인 가구 지원의 골든타임을 놓치면 돌이킬 수 없는 사회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정책 당국은 1인 가구 살리기에 적극 나서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