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 성공 안착해야 시장 활성화”

항공정비산업(MRO)을 지역간 경쟁 구도가 아닌 '항공 안전'과 '항공 산업'이란 대의적 명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더구나 코로나19로 극심한 경제 위축 상황에 놓인 중구 영종지역 등 인천의 경제 발전의 새로운 축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안(인천공항법 개정안)'을 주목하고 있다.

19일 국토교통부와 인천공항공사, 허종식(민, 인천 동구·미추홀구갑) 국회의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항공기정비로 인한 인천공항 지연·결항편은 지난 2015년 30만634편 대비 777편에서 2019년 39만8815편 대비 1272편으로 조사됐다. 여객 수송 글로벌 10개 국가 관문공항 중 MRO 클러스터가 없는 공항은 인천공항(세계 5위)이 유일하다.

국내 MRO 시장(민수)의 규모는 연간 2조6000억원(2018년 기준)이지만 전체 물량의 54%는 해외로 빠져나간다. 국부 유출이 1조억원을 넘는다.

특히 지난 2018년 정부 기관 등이 1350억원을 투자해 경남 사천에 설립한 항공MRO 전문업체 KAEMS가 매년 수 십억원의 적자를 보고 있고, 정비 기종 또한 특정 기종에 한정된 만큼 고비용이 발생하는 정부의 MRO 투자 실패를 막기 위해 “KAEMS가 성공적으로 안착해야 정부의 MRO 투자가 활성화될 수 있다”, “사천 MRO 시장과 인천 MRO가 공동으로 우리나라 MRO 시장을 견인해야 한다”는 인식이 항공 관련 종사자와 전문가들 사이에 상당하다.

여기에 인천은 코로나19로 인천공항에 의지한 산업이 나락에 떨어진 만큼 윤관석(민, 인천 남동구을)·배준영(미, 중구옹진군강화군) 국회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인천공항법 개정안에 담긴 '주변지역의 개발사업'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발표된 공항경제권은 인천을 넘어 전국의 공항지역이 해당된다.

인천산학융합원 유창경 원장(인하대 교수)은 “항공안전을 위한 필수인 MRO 클러스터 개발사업은 예산 낭비와 중복투자라고 볼 수 없다"며 “미래의 항공기 수요를 예측해 인천과 사천이 모두 MRO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고, 국토연구원 정우성 책임연구원은 “공항기능 재정립을 통해 공항을 통한 지역상생발전을 일궈야 한다”고 언급했다. 윤 의원과 배 의원 모두 “항공MRO는 국민의 생명권과 직결되는 만큼 국토균형발전 논리에서 벗어나 머리를 맞대고 상생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주영·김원진·이창욱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