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차 등교수업에 이어 8일부터 전체 학교 등교수업이 이뤄짐에 따라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콜센터, 이태원클럽, 학원, 물류센터, 교회 등에서 잇따라 집단감염이 발생한 수도권의 경우 등교수업에 비판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경기도 부천과 인천 부평구•계양구에서 등교수업 직후 발생한 지역사회 감염으로 수많은 학교의 등교가 중지된 것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등교수업을 중지하는 권한을 교육부나 시•도교육청 대신 개별 학교에 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개별 학교장에게 등교수업 중지 권한을 부여해야 만일의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현장의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안전성도 담보된다고 주장한다. 현재 등교수업 조정은 교육부 권한이어서 일선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이 즉각 반영되기 어려운 구조다.

게다가 지난 주말 수도권 곳곳에서 '조용한 전파'가 확산된 것도 우려스럽다. 인천지역 교사 대부분도 안전한 등교수업이 힘들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 191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1820명(94.9%)이 안전한 등교수업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불가능'이라고 답했다.

어찌됐든 전 학교 등교수업은 시작됐다. 철저한 방역수칙 이행 등 기본에 충실하라는 것을 재차 강조하는 것 외에는 뽀족한 수단이 없다. 학생 등교 시 열 체크, 마스크 착용, 2m 거리두고 책상 배치, 환기, 소독 등에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수도권 집단감염은 대부분 밀집된 시설에서 발생하고 있다. 밀집시설에서 이뤄지는 모든 활동은 코로나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많은 학생들이 모여 수업을 하는 학교는 당연히 감염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는 수업중지 등 즉각적인 조치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래야 더 큰 사단을 막을 수 있다. 학생들이 안전하게 등교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방역당국과 학교 측은 특별한 경계와 자제가 필요하며, 학생 밀집도 최소화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어쩔 수 없이 학교 갔다가 큰일났다”는 말이 들리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