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탈북민 정착 지원과 통일 관련 사업을 담당하는 '통일센터' 유치에 나섰다. 통일센터는 오는 2022년까진 전국 광역시·도에 설치되지만, 통일부는 우선 올해 한 곳을 선정해 시범운영할 계획이다. 현재 부산시·광주시·강원도가 함께 통일센터 유치 신청을 했지만, 시는 남북교류 거점도시인 인천에 통일센터가 들어설 가능성을 높게 본다. 연평도 포격 사건 등 '역사성'을 지닌 접경지역이기 때문이다. 시는 이달 중 통일센터를 유치하면 우선 센터 예정지를 정하고 5월 중 내부공사를 마무리해 하반기에 개관할 예정이다. 통일센터는 탈북민 정착 지원을 위한 지역 하나센터, 통일교육을 하는 통일관을 연계해 통합·운영된다. 통일센터는 탈북민 취업교육, 심리상담, 남북교류 협력사업, 이산가족·납북자 상담 지원, 평화통일 강의·포럼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원활한 탈북민의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선 지자체의 관심과 역할이 중요하다. 인천시에서 통일센터 유치에 나선 일도 같은 맥락이다. 한국전쟁 당시 항로 등 지리적 관계로 인천에 정착한 북한 출신 피난민이 아주 많았다고 한다. 지금은 대부분 돌아가셨지만, 그 2~3세대 중 상당수는 아직 인천에 남아 삶을 꾸려간다. 여기에 북한과 가까운 백령·연평도 등 서해5도서 주민들은 늘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한 채 생활한다. 아울러 남동구 논현동에는 탈북민들이 밀집해 살고 있다. 그만큼 인천은 북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는 셈이다.

탈북민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선 취업을 통한 자립이 가장 핵심적이다. 그런데 탈북민들은 단절감과 소외감에 시달리며 산다고 한다. 탈북민들이 우리 사회 정착에 어려움을 겪는 제일 큰 이유는 탈북민을 다르게 보는 탓이다. 실제로 남한 사회에서 탈북민들은 매우 이질적인 존재로 여겨진다. 배급과 배치로 상징되는 사회주의적 질서에서 경쟁과 선택이라는 시장 자유주의적 질서로 적응하는 과정이 매우 혼란스럽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남한 주민과의 소통에 애를 먹는 것도 다반사다. 남한 주민이 북한 출신을 '나와 같은 국민'으로 보는 데 몹시 인색하다는 점이다. 말로는 '통일'이 쉽지만, 당장 북한 주민과 함께 지낼 수 있다는 사람은 많지 않을 듯하다. '마음의 장벽'은 이렇게 높다. 통일센터에선 이를 넘고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부터 마련해야 할 터이다. '물리적 장벽'을 허물어봐야 아무 소용이 없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