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만큼은 우리나라도 더 이상 안전지대로 볼 수 없다. 몇년 사이에 수차례 지진이 발생했고, 지진으로 인한 피해규모 역시 적지 않았다. 더구나 지진피해 지역 주민들이 감당해야 하는 충격이 컸다. 다만 최근까지 다른 나라에 비해 큰 지진이 발생한 일이 별로 없어 안심하고 지낼 수 있었다. 그래서인가. 지진에 따른 안전대책에는 소홀하다. 하지만 이제 상황이 급변했다. 지진에 대비한 안전대책을 세우는 일이 시급해졌다. 우선 긴급재난에 따라 피해가 클 수밖에 없는 대형건물이나 다중집합시설에 안전대책을 강구하는 일이다.
그중에서도 학교에 대한 안전대책은 급하다. 최근 경기도교육청 조사에 따르면 도내 학교건물 중 내진설계가 이뤄진 곳은 30% 정도이다. 그나마도 당초 계획보다 6년을 앞당겨 내진보강을 실시한 결과다. 지금과 같은 속도로 모든 학교건물에 내진설계를 반영하려면 11년이 걸린다고 한다. 도교육청은 올해도 570억원의 예산을 들여 교사(校舍)와 체육관(강당), 급식실 등 건물 120개동에 대한 내진보강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이렇게 공사를 마치고 나면 내진설계가 반영된 건물은 1901동(38.6%)으로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그러고도 남는 건물이 3019동에 이른다. 도교육청은 매년 640억원을 확보해 135~140동씩 내진설계를 벌여 오는 2029년 모든 학교건물에 대한 내진보강을 마칠 계획이다.

재론하건대 앞으로도 11년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 그나마 당초계획보다 6년을 앞당긴 계획이라는 게 도교육청의 설명이다. 하지만 과연 그래도 되는지 의문스럽다. 한정된 예산으로 내진보강에 힘을 쏟아부어야 하는 도교육청의 입장을 헤아리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허용 가능한 범위에서나마 조금이라도 앞당겨보려는 교육청의 노력도 가상하다. 문제는 지진이 그때까지 우리를 안전하게 기다려줄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는 데 있다. 특히 최근 훨씬 잦아지는 지진발생 횟수를 고려하면 학부모들의 불안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다. 지금이라도 서두르는 게 답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