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결정 이후 파문이 거세게 일렁인다. 글로벌GM이 우리 정부에 내건 협상 시한이 코 앞에 다가오자, 국내 최대 규모의 한국지엠 부평공장을 지키려는 지역사회 움직임은 긴박하다. 협력업체들은 협상 실패시 다음 구조조정 대상으로 거론되는 부평공장을 지키려고 정부의 지원과 협조를 촉구하고 있다. 인천시도 부평공장에 대한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등을 검토하고 있지만, 한국지엠을 살리고 지키는 게 쉽지 않아 보인다. 그렇더라도 시는 어떻게든 부평공장을 지켜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한국지엠 부평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만 1만1000여 명에다 협력업체까지 합하면 수만명의 생계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한국지엠 부평공장이 인천경제에 끼치는 영향도 상당해 2016년말 기준 인천의 GRDP(지역내총생산)의 15%, 수출의 22.7%를 차지할 정도다. 이러니 인천시에 불똥이 튈 수밖에 없다.

협력업체들은 이런 현실을 고려해 정부에서 적극 지원해 달라고 요청한다. 만약 정부가 지원을 하지 않아 부평을 비롯한 한국지엠 공장들을 축소한다면 협력업체는 '사형선고'를 맞는 거와 마찬가지라고 한다. 따라서 정부 지원 등으로 이번 문제를 해결하면 부평공장에도 연간 30만대 이상 판매할 수 있는 신차를 가져오게 되고, 신차를 계속 개발해야만 협력업체들이 살 수 있다고 호소한다. 지엠측은 경영정상화를 빌미로 산업은행의 유상증자 참여와 함께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자사 공장을 외투지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외투지역 지정시 한국지엠은 5년간 소득·법인세 100%, 추가로 2년간 50% 감면을 받는다.

다만 지원과 협조 등도 좋지만, 우선 지엠측에서 투자를 어떻게 할지 뚜렷한 계획을 내놓아야 한다. 사실 한국지엠의 경우 최근 4년간 영업손실이 2조5000억원에 이르고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지만, 정작 글로벌GM에서는 '자구노력'을 별로 하지 않았다. 그래서 한국지엠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반대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왜 적자가 나는지, 왜 차가 안 팔리는지 스스로 돌아보지 않으면서 어렵다고 손을 벌리는 건 그만큼 한국정부를 우습게 보는 일이지 않는가. 글로벌GM이 곱씹어봐야 할 대목이다. 한국지엠 사태를 해결하려면 글로벌GM이 먼저 한국공장에 30만대 생산 규모 신차 배정부터 약속해야 한다는 한국지엠 노조의 얘기를 새겨 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