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한민국 관광정책에서 가장 눈에 띄는 지점은 평창 동계올림픽이다.

30년만에 대한민국에서 열리는 올림픽에 남북간 해빙무드를 타고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관광의 참맛을 알릴 수 있는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정부에서는 올림픽 입장권을 구매한 중국관광객 등에게 일정한 무비자 혜택을 주는 한시적 정책을 마련했다. ▶관련기사 7면

관광업계에서는 국민소득 3만달러, 외래관광객 2000만 시대를 맞아 무비자정책 확대와 양 보다는 질 위주의 근본적 정책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16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2016년 한국을 찾은 외래 관광객 수는 1724만여명으로 전년 대비 37.5% 성장했다. 지난 2012년 1000만명 돌파 이후 매년 200만명씩 증가했다. 메르스가 발생한 2015년 전년도에 비해 100만 명이 준 1420만여명에 그쳤지만 2016년 1800만명 고지에 근접했던 것이다. 지난해에는 사드 배치 영향으로 크게 준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이 기간 중국 관광객은 2015년 600만명에서 2016년 800만명까지 급등했다 지난해 400만명 안팎으로 떨어졌다. 입국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관광객이 자국 정부정책에 따라 급등락 하면서 국가 관광정책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2016년 기준으로 국가별 방한 관광객 비중은 중국(46.8%), 일본(13.3%), 미국 (5.0%), 대만(4.8%), 홍콩(3.8%), 필리핀(3.2%), 태국(2.7%), 인도네시아(1.7%), 말레이시아(1.8%), 베트남(1.5%), 러시아 (1.4%), 싱가포르(1.3%), 인도(1.1%)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사증면제 체결 국가인 러시아를 제외하고는 85%가 아시아 관광객이다.

정부도 평창올림픽에 맞춰 동남아 국가에 대한 비자발급 간소화 정책과 올림픽 티켓 구매 등 일정 조건을 갖춘 중국관광객에 한해 한시적으로 무비자 정책을 도입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일본이나 중국 외 중화권 등 전략시장의 방한객 수가 현재 646만 명에서 2022년 850만 명으로 늘고, 재방문 외래 관광객 수도 현재 700만 명에서 2022년 1500만 명으로 늘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방한시장 관리 체계화를 통한 시장 안정성 제고가 시급하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연말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현주소와 개선과제'를 발표하며 동남아 국가와 인도 관광객에 대한 비자제도 완화를 제안했다. 일본은 2014년부터 인도네시아 관광객이 전자여권을 사전등록하면 비자를 면제토록 했다. 대만도 2017년 11월부터 필리핀 관광객에 대한 비자면제를 시행하고 있다.

홍규선 동서울대 항공서비스학과장은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시행되는 무비자 정책은 많은 외래 관광객들이 대한민국의 스포츠와 문화를 경험하고 한국의 위상을 알리는데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라며 "다만 외국인 불법 체류 등 일부 우려되는 부분에선 법무부 출입국관리사무소의 철저한 심사 관리가 수반돼야 하며, 평창올림픽이 성황리에 개최돼 한국 관광수지 적자폭을 줄일 수 있는 기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칭우·신나영 기자 chingw@incheonilbo.com


관련기사
[대한민국 여권의 힘] 세계인 더 드나들 기회가 왔다, 문턱을 낮추자 올해 국내 관광정책에서 가장 눈에 띄는 지점은 평창 동계올림픽이다. 전 세계인이 참가하는 이 국제대회는 선의의 대결뿐 아니라 한국관광의 참맛을 알릴 절호의 기회이기 때문이다. 한국관광은 지난해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 관광객의 방한이 급감하면서 위기를 맞았다. 한해 입국 외국인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의 금한령 조치로 한국관광은 질보다 양을 앞세운 정책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정책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시급한 관광정책 변화 외래 관광객은 지난 2012년 1000만명 돌파 이후 매년 200만명씩 증가했다. 메르스가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