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권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내년 지방선거와 동시 개헌을 공식화했다.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는 이미 어느정도의 개헌방안을 잡아놓고 있다. 지방분권형 개헌에 무게를 두고 있다. 향후 5년간 국정의 방향을 결정하는 국정자문위원회 또한 지방분권을 위한 밑그림 작업에 들어갔다고 한다. 이른바 '균형발전개헌'이라는 이름의 개헌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 밝힌 공약이기도 하다. 지방분권은 이미 시대적 흐름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전국의 모든 광역시·도는 지역상황에 맞춰 '지방분권 촉진에 관한 조례안'을 제·개정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개헌 논의에 맞춰 '지방분권을 촉구하는 지방분권 실현 촉구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발빠른 대처에 나서고 있다. 나아가 서울·부산 등 광역시 12곳과 13개 기초자치단체는 자체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을 넘어 '전국지방분권협의회'를 구성해 지방분권을 촉구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한마디로 전국의 지자체가 전력 투구하고 있다.

문제는 인천이다. 인천시와 시의회는 지방분권에 대비한 어떠한 준비도 없다. 타 시도의 발빠른 움직임 조차 의식하지못한 채 세월을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정치권 또한 이에 어떠한 반응조차 없다. 지방분권에 관심과 의지가 없다는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지방자치단체장들은 매번 선거때마다 공천제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지방의 살림과 제도를 규정하게 될 분권형 개헌에는 남의 일처럼 대한다. 어처구니 없는 일이다.

선진국의 경우 지방분권의 틀과 범위가 국가와 도시의 경쟁력을 결정짓고 있다. 지방분권이 현실화되면 이제 대한민국의 각 도시들은 도시간 경쟁에 돌입한다. 도시간 경쟁에서 이기는 지역에 인구와 돈이 몰리게 된다. 예산이 많고 일자리가 넘쳐나면 사람들은 몰리게 마련이다. 기존처럼 전시성 행정으로 일삼는 도시와 지역이 파산하고 도태되는 현실은 그리 멀지않다.

인천이 지금처럼 넋놓고 있다면 그같은 현실을 경험할 것이다. 새정부가 들어서고 새롭게 시작되는 이때, 인천시와 시의회는 바짝 정신을 차려야한다. 정치와 행정이 여·야의 구분을 넘어 오직 인천만을 위한 일에 앞장설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