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산업클러스터 계획서 빠져
인천이 정부의 제 1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2017~2021년)에서 된서리 맞았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산업클러스터 우선 지정 대상구역으로 부산항 우암부두와 광양항 중마 일반부두 및 컨테이너부두 1단계(3, 4번 선석)을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해수부는 "433억 원을 들여 부산항은 해양레저선박 및 첨단 부분품 제조업을, 광양항은 해운항만물류 연구개발 가늠터(테스트베드)로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인천은 "현재 인천항에 유휴부두가 없다"는 이유로 빠졌다.
<관련기사 7면>

해수부는 인천이 안 되는 이유로 "인천항의 기능 이전 등에 따라 장기적으로 유휴화 가능성이 높지만 ▲남항 석탄 및 모래부두 이전 ▲컨테이너물류 기능의 신항 이전 ▲항만재개발 여부 등의 선결과제 등에 따라 장기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제 3차 전국항만기본계획에 2020년 남항 석탄 및 모래부두 이전 방침이 정해졌고 컨테이너물류 기능 대부분은 신항으로 이전됐다. 내항 부두는 텅 비었고, 남항 기능 재편은 정부 용역에 묶여 옴짝달싹 못 하는 상황이다.

인천항을 규제한 정부가 '규제'를 핑계로 인천을 뺀 것이고, 여기에 인천시와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항만공사가 "정부 정책이 맞다"며 맞장구 쳤다.

시 관계자는 "해수부가 사업 전 관련 용역을 벌였고 인천에 유휴부두가 없다는 결론을 전달 받았다"며 "시와 인천해수청, 인천항만공사가 뜻을 같이했다. 정부의 '투 포트' 정책 탓에 인천이 빠진 게 아니다"고 말했다.

반면 인천항 관련 업체들은 "인천항에 기능이 정지된 선석이 많다"며 "정부 재원으로 중고차매매단지는 물론 내항 재개발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는데 시, 인천해수청, 인천항만공사 의견은 핑계로밖에 안 들린다"고 비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