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기 급급 … 안내판·조형물만 설치
가끔 열리는 축제 뿐 … 예산지원 없어
인천시내 자치군·구가 조성한 특화거리가 속 빈 강정이다.

지역경제 활성화 명분을 내세우면서도 상인들에겐 예산 지원조차 없다.

표지판만 내건 특화거리엔 엇비슷한 음식점만 즐비하다.

18일 인천시에 따르면 현재 일선 군·구가 조성한 특화거리는 총 22곳이다.

상권 확대와 관광객 유치를 위해 1990년대부터 최근까지 특정 음식을 파는 먹거리 골목이나 문화·산업·예술분야 상점이 밀집한 동네에 주로 만들었다.

중구와 남구, 남동구와 강화군이 각각 3곳씩 만들었다. 연수구와 계양구 등도 지역별로 2곳씩의 특화거리를 조성했다.

대부분이 음식을 내건 음식문화 시범거리다. 이마저도 안내판이나 조형물 정도만 있다.

다양한 공연과 축제를 곁들여 지역문화가 살아 숨쉬는 거리를 선보인다던 당초 취지를 살린 거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일선 군·구가 지역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않은 채 앞다퉈 특화거리를 지정한 탓이다.

다른 도시와 비교하면 확연히 드러난다.

서울시는 을지로 도심에 조명 특화거리를, 종로엔 보석 특화거리를 각각 조성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중흥동과 대인동에 건축자재 특화거리와 전자 특화거리를 만들었다.

인천은 동구 류현진거리와 서구 가석공업지역 공공예술 특화거리가 그나마 특성을 살린 장소로 꼽힌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특화거리 상인들의 불만이 높다.

연수구 음식문화 시범거리 한 상인은 "가끔 축제가 열리긴 하지만 그 때 뿐"이라며 "손님들은 그저 먹거리 골목이라고만 생각한다. 지역상권을 살리려면 자치단체가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신섭·송유진 기자 hss@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