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정은 곧 '내각제'…도의원이 사통부지사 못 할 이유 있나"


'직책'을 맡는 것은 무거운 책임감도 부여된다는 의미다. 때문에 높은 직책이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다. 경기도의회 제9대 후반기에는 무거운 책임을 하나도 아니고 두개나 양 어깨에 짊어진 의원이 있다.

바로 김종석(더민주·부천6) 도의회 운영위원장의 얘기다. 김 위원장은 도의회 운영위원장 뿐 아니라 도의회의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수석부대표라는 중책을 맡고 있다.

막중한 책임감에 부담이 클 것이라는 생각은 그를 만난 순간 기우였음을 바로 깨달았다. 확고한 신념과 원칙이 있기에 '앞으로 부딪히게 될 난관들을 잘 헤쳐나가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김 위원장을 만나 앞으로의 계획과 경기도 연정에 대한 소신 등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정치에 입문하게 된 계기는.

-1987년 학생운동을 하다가 옥살이도 해보고, 쉽게 말해 운동권 학생이었다. 열심히 학생운동을 하던 중 신춘문예에 당선돼 '영화 한 번 만들어 보자'는 생각에 서울로 상경했다.

조세희 선생님과 인연을 맺어 말지의 편집장을 맡기도 했다. 아침이슬이라는 출판사를 운영하기도 했는데, 당시 아이가 아파서 보금자리를 강원도 산골마을로 옮겨 산속생활을 하기도 했다.

다시 뭔가 새로운 일을 찾던 즈음 양기대 광명시장을 도왔고, 자연스레 정치권과 인연을 맺게 됐다. 이후 김동철 의원과 감상희 의원 보좌관 등으로 활동해왔다. 그러다가 2012년 보궐선거에 출마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도의원으로 당선됐다.

▲더민주는 연정을 어떻게 보고 있나.

-사회통합부지사라는 명칭 자체도 새롭게 바꾸고 사통부지사의 역할을 재조정해서 사통부지사가 3개 실·국만을 책임질 것이 아니라 정무부지사처럼 역할을 확대하기로 대표단 내부적으로는 일단 합의를 마친 상태다.

경기도 기획조정실에서 현재 사통부지사를 완전 배제하고 있는데 진정한 연정이라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본다.

소수의 의견중에는 현직 도의원이 사통부지사를 가는게 맞다는 의견도 있다.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지만 9대 의원들 중에 누가 사통부지사에 가더라도 외부에서 오는 것보다는 낫다고 본다. 연정이라는 것이 곧 내각제의 도입인데 내각제라면 도의원이 사통부지사가 아니라 도지사도 못할 이유가 없지 않나.

▲정치인 아빠로서는 어떤가.

-가족관계는 아내와 고등학교에 다니는 아들, 중학교에 다니는 딸, 이렇게 네식구다. 아이들이 아빠가 정치를 한다는 것에 자부심도 가지고 아빠의 직업에 대해 부러움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아이들에게 공부하란 소리를 안해서 좋은 아빠라고 하는 것 같다. 정치인이라는 직업은 가정에 소홀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아무리 바쁘더라도 사회적 약자로 오랜 노동시간에 시달리며 어렵게 살아가는 분들 보다 어렵겠나. 그런분들도 계시는데 정치인이 힘들다고 투정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도의원 활동 중 가장 어려운점은.

-요즘들어 가장 심각하게 느끼는 것은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에게 권한과 예산을 안준다는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예산구조는 중앙정부가 8을 가지고 나머지 2를 지방정부에 주는 형태기 때문에 이런 예산 구조로 제대로 된 정책을 펼치지가 쉽지 않다. 여기에 중앙정부가 일은 자기들이 벌리면서 책임은 지역으로 떠미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런 구조에서 도의원들이 조례를 통해서 예산을 세우고, 사업 동력을 일으킨다는 게 쉽지만은 않다. 지방자치 분권이 자리잡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시대 변화의 뒤떨어짐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 생활밀착형 정치를 할 수 있는 여건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안타깝다.

▲'김종석 의원은 강성'이라는 표현이 있다.
-삶의 원칙인 상식과 기본을 벗어나는 것에 대해 제도를 개선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항한 것이 강성의 모습으로 비춰진다면 영광으로 받아들이고 싶다.

도정에서도 상식과 원칙이 바로서야 한다. 도민을 위한 일을 하는 정치인으로서 그런 표현들에 대해 전혀 구해받지 않겠다.

상식과 원칙을 지키기 위한 강성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앞으로의 계획은.

-민주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다수결일지는 몰라도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의회는 합의가 중요하다.

합의가 된 것은 서로 존중하고 반드시 지켜주되 그 합의를 이루기 전까지는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격한 토론과 검증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도의회가 대화와 타협, 소통과 협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맡은 바 책임있는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다.


/글 문완태 기자 myt@incheonilbo.com
/사진 김수연 기자 ksy9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