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녹지율 36% '6개 광역시 중 꼴찌'
1위 울산과 두배 차이 … 재정난 한몫'
'녹색도시 인천'은 여전히 공염불이다. 시민이 법적으로 누려야 할 녹지 면적은 6개 광역시 중 꼴찌, 17개 시·도 중 녹지비율은 16위로 '회색도시 인천'이란 불명예를 못벗어나고 있다. 녹색기후기금(GCF) 유치 후 '글로벌 녹색 도시'란 거창한 타이틀이 무색하다.

23일 환경부에 따르면 인천 녹지비율은 36.41%이다. 7개 특·광역시 중 녹지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는 놀랍게도 울산(69.77%)였다. 다음으로 대구(61.1%), 대전(58.8%), 부산(52.42%) 순이다. 서울의 녹지비율이 30.2%로 인천보다 낮다.

환경부는 2013년에 마련한 국토표면상태를 반영한 전자지도(토지피복지도)를 분석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녹지비율은 행정구역 면적 대비 총 녹지면적을 의미한다. 녹지면적에는 삼림지역과 초지가 포함되지만 논이나 밭 등의 농경지는 포함되지 않는다.

환경부는 국내 대표 공업 도시인 울산의 녹지비율이 높은 이유를 태화강 주변에 조성된 수변 공원과 신시가지인 삼산동 주변의 녹지 공간을 늘린 점을 꼽았다. 울산 행정구역 안에 가지산과 신불산을 포함한 산림이 약 61%를 차지하기 때문이란 분석도 내놨다.

하지만 같은 '공업 도시' 인천은 왜그럴까. 인천에도 S축으로 이뤄진 산림이 존재한다. 해답은 시민 1인당 녹지 면적에 있었다.

인천 시민 1인당 녹지 면적은 고작 6.45㎡,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좁다. 서울시가 14.5㎡로 가장 넓고, 이어 울산 12.4㎡, 대전 9.3㎡, 광주 7.69㎡, 대구 7.2㎡, 부산 7.17㎡였다. 인천 시민은 서울 시민의 절반 밖에 안되는 녹지 혜택을 받았고, 울산의 반절 가량되는 녹지 환경에서 생활한 셈이다. 심지어 녹지 면적에 포함된 공원 면적은 1인당 5.25㎡로 법적 최소 확보 기준인 6㎡에도 미치지 못했다.

2000년대 인천의 화두는 '녹색'이었고, 이를 위해 시가 상당액의 예산을 쓰는 등 공을 들였다. 그 열매가 바로 2013년 10월 유치한 GCF 사무국이었다.

문제는 인천을 강타한 재정난이었다. 시가 애초 조성하려던 녹지 면적은 58.88㎢, 올 초까지 조성된 면적은 고작 18.57㎢(31.5%)에 불과했다. 계획 면적을 완성하려면 향후 2조5500억원이 필요하지만 현재로선 미지수다. 민선 3기 녹지 예산은 시 전체 예산의 2.85%, 4기 2.1%였다. 5기 때는 1.1%로 떨어졌고, 지난해 말 세워진 올 예산 중 녹지 부문은 고작 0.82%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토지피복 지도를 통한 조사인 만큼 시민 삶과 밀접한 녹지율이다"고 말했고, 시 관계자는 "인천시는 녹지율 향상을 위해 노력 하고 있다. 재정난에 힘들지만 여러 각도로 녹지율을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