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10일 지하철공사 신규 직원 임용방식으로 인턴사원제를 추진하려한데 속셈이 따로 있었다는 기사(본보 9일자 1면)에 대해 몇가지 반응을 보였다.

 우선 50억여원의 훈련비를 노동부의 고용보험기금에서 타내 가뜩이나 부족한 예산을 절감하려 한게 뭐 그리 큰 잘못이냐는 반응이다. 또 수험생들이 인천시청 앞에 몰려와 농성을 벌이는 것은 학원들이 수험생들을 부추겨 일어난 일이지 인천시의 잘못은 아니라는 반응이다.

 인천지하철공사는 아직 인턴사원제로 할지, 수습사원제로 할지 결정하지 않았으며 내부 검토과정에서 문건이 유출돼 논란이 일고 있다고 변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반응은 논란의 본질에서 벗어난 것으로 책임을 면해보려는 자세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인천지하철공사가 인턴제로 사원을 뽑으려 한 것은 여러가지 정황으로 봐 사실로 확인됐다. 최기선시장도 5일 시의회 답변에서 『인턴사원제도가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답변해 공식적으로 이를 확인까지 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인턴사원제로 선발방식이 결정된 것은 아니다라는 인천시의 답변은 궁색한 변명에 불과하다.

 논란의 본질은 취업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졸 신입사원들을 볼모로 해 50억여원의 훈련비를 절감하려 한게 옳은가 하는 문제이다. 가뜩이나 취업난으로 마음고생을 하고 있는 대졸자들을 선발해 3~7개월의 훈련과정을 거쳐 탈락시킨다면 인천시는 훈련비를 절감하겠지만 탈락자들은 몇개월을 허송할 뿐 아니라 다시 차가운 실업대열에 서야 한다. 물론 이같은 신입 사원의 희생이 따르더라도 지하철공사의 부족한 재원을 절감하기 위해 인턴제를 도입하자는 주장도 있을 수 있다.

 문제는 인천지하철공사가 인턴사원제의 도입에 따른 이득과 문제점을 시의회에서 제대로 설명하고 찬반논쟁을 거쳐 이를 결정했어야 했다는 지적이다. 시의원들에게 설명은 커녕 시책의 최고결정권자인 시장에게까지도 이를 정확히 주지시키지 않아 시장이 하루는 『인턴사원제가 가장 적합하다』고 했다가 다음날은 『수습사원제가 가장 적합하다』며 의원들의 이해까지 구하는 웃지못할 상황을 연출했다.

 수습사원은 채용이 보장된 상태에서 수습기간을 거치는 반면 인턴사원은 근로자가 아니라 신분보장이 되지 않는 순수한 훈련생이라는 점을 알고 있는 시민들이 시장을 어떻게 바라볼지 궁금하다.

 인천시는 수험생들의 농성을 불순한 의도가 담긴 것이라고 강건너 불구경 하듯 하지 말고 하루빨리 이 문제를 매듭짓기 바란다. 또 논란을 불러온 책임자의 문책도 당연히 뒤따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