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현 고유섭, 그의 삶과 학문세계
11. 송도고적, 개성 그리고 고려문화의 예술기행 
   
▲ 1930년대 후반 개성 박연폭포에서. 오른쪽부터 조경희, 이정숙, 김신실, 손인실, 원선희, 노옥인, 고유섭, 정충량, 이종서, 김상용.


집요한 학자적 탐구 자세 견지하며

문헌바탕 답사로 오랜 통념 뒤집고

남계원지 칠층석탑 등 기원 밝혀내


추상같은 냉정함 속 재치·시적표현

일제연호 피하려 이원적 연대 표기


후학들 개성지역 문화유산 순례 소망

우현을 매개로 학술교류의 장 열려야



'송도고적'은 우현 고유섭이 개성부립박물관장으로 부임한 이래 고려 왕조의 도읍지였던 개성 일대의 유적과 유물을 직접 답사하여 쓴 글을 묶어 낸 책으로, 미술사가의 안목으로 개성의 유적과 유물을 탐구한 최초의 지지(地誌)이다. 나아가 관련 문헌의 자료를 고증하여 완성한 고려문화의 기초 연구의 하나이며, 지금으로서는 접하기 힘든 북한 유적의 소중한 자료를 담고 있는 문화유산답사기이며 '개성학(開城學)'의 단초를 연 고전(古典)이다.

본래 이 책의 내용은 '고려시보(高麗時報)'란 당시 개성의 유력한 지역신문에 '개성고적 안내'라는 제목으로 연재했던 글을 묶은 것이 대부분이고, 그 밖의 문예지에 발표했던 글 가운데 책 내용과 관련 된 것을 덧붙여 '송도고적'이라는 이름으로 1946년 3월 박문출판사에서 출간한 책이다. 그러나 그 때는 이미 고유섭은 세상을 떠난 후였다.

'송도고적'이라는 제목도 우현의 깊은 생각 끝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개성을 가리키는 명칭은 송도(松都) 외에도 송악(松嶽)·개경(開京)·황도(皇都)·황성(皇城)·경도(京都)·경성(京城)·송경(松京)·중경(中京)·북경(北京)·왕경(王京) 등 매우 다양한 이름이 문헌이나 구전(口傳)을 통해 전해 내려오는데, 당시에는 '개성'과 '송도'라는 지명이 주로 불리던 명칭이었던 듯하다.

이렇게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개성이 역사도시였음을 잘 드러내는 예라 할 것인데, 이 점에 대해 우현 선생은 「고려의 경(京)」이라는 글에서 여러 옛 문헌을 고증하며 이 지명들에 대해 상세한 고찰을 하고 있으며, "문자적으로 '개성'이란 것이 정통성을 가진 것이며, 구전적으론 '송도'란 것이 애칭된 것"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이 책의 제목을 '개성고적'이라 하지 않고 '송도고적'이라 한 것도 이러한 면밀한 고찰 끝에, 주로 행정구역상의 명칭인 '개성'보다는 오랜 세월 기층민들이 애칭으로 불러 왔던 '송도'를 택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우현은 이 책의 서문에서 역사는 "창조적 신생(新生)을 위한 유일한 온상"이며, 고적(古蹟)은 "역사의 상징, 전통의 현현(顯現)"이라 말하고 있다. 우리가 역사와 고적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옛것에 대한 회고가 아니라 오늘 이곳에서의 삶과 미래로의 지향을 위한 것으로, 이는 전통의 바탕 위에서 새로운 창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어서 우현은 "나는 역사가가 아니다. 역사에는 소양이 없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역사적으로 천명해야 할 고적에 대하여, 전통을 말해야 할 고적에 대하여 보다 더 역사미(歷史美)에 탐닉하고 말았다"라고 겸양해 하지만, 1934년 진단학회(震檀學會)의 발기인으로 가담했을 뿐 아니라, 실제로 우현의 학문적 태도는 연구자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학문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숱한 문헌을 섭렵하여 철저하게 고증하는 자세로 일관해 왔다. 이 점은 우현의 학문세계를 이루어 온 중심축이면서 이 책에도 잘 드러나 있다.
 

   
▲ 개성 선죽교. 우현은 「선죽교 변(辯)」이라는 글에서 남효온의 「추강집」을 인용해 정몽주가 순절한 곳이 선죽교가 아니라 대묘동 입구일 가능성이 높다는 추론을 제기하고 있다. 우현의 치밀한 문헌 사료 조사가 돋보이는 대목이다.


'송도고적'은 성곽·궁궐·왕릉·관아·절·절터 그리고 탑·석등·범종 등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을 중심으로 그 인근의 고적과 유물까지, 선생이 일일이 답사하여 관찰하고 실측하고 문헌을 조사하여 고증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나아가 이들이 지닌 양식적 특색이나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도 폭넓게 다루고 있다. 즉 이 책은 고적 답사의 충실한 본보기를 제시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고 단순한 현장 답사기에 그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철저한 현장 답사를 통해 마치 전설처럼 전해 내려오는 기존의 통념들을 넘어서서 확실한 결론을 이끌어 내거나 아니면 최소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우현에게 송도의 고적 답사는 이론과 실제가 하나로 얽히면서 그의 학문적 심화(深化)를 다지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볼 수 있는데, 신문 연재 때 미처 풀지 못했거나 미진했던 점을 그 뒤 다른 글에서 계속해서 보완하고 있는 점이 바로 그러하다.

예컨대 '개국사(開國寺)와 남계원(南溪院)'(高麗時報, 1936년)이란 글은 지면의 제한으로 인해 그 내용이 매우 간추려져 있는데, 그 자세한 내용을 이후 '소위 개국사탑에 대하여'(考古學, 제9권 제9호, 1938년)란 글에서 보완 서술하고 있으며, 또다시 「'소위 개국사탑에 대하여' 보(補)」(考古學, 제10권 제7호, 1939년)라는 글로 재차 보완하고 있다.

이 세 편의 글은 1915년 경복궁 뜰(지금은 용산 국립중앙박물관)로 옮겨진 칠층석탑과 그 탑이 있던 절터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고려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이 탑은 당시까지 개국사지 석탑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우현 선생은 치밀하게 문헌자료를 수집·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철저한 현장 답사를 통해 현지의 지리적 위치와 지형을 파악하고, 아울러 석탑의 양식적 분석을 통해 제작연대를 추정함으로써, 기존에 개국사지탑이라 불리던 칠층석탑이 사실은 남계원에 있던 탑<사진>이고, 남계원지 석등으로 알려진 것이 오히려 개국사지의 것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한 가지 문제를 끝까지 탐구해 나가는 선생의 집요하리만큼 완벽함을 추구하는 학문 자세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우현이 개성과 그 일대의 고적을 답사하던 모습을 그의 아내가 기록한 글이 전한다.

개성에 와서도 가끔 주일이면 도시락 두어서넛씩 싸가지고 사람을 데리고 고적 답사를 다녔다. …선생은 가끔 답사를 나가는데, 사람을 한두 명 데리고 나갔다. 갔던 사람들 말이 선생께서는 원래 걸음을 잘 걷는 양반이라 따라갈 수가 없다 한다.

언제나 개성 시내와 고적 답사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리고 일본이나 외국이나 서울 각 곳에서 손님이 오면 손님 대접하랴, 있던 손님을 데리고 고적을 잘 구경시키고 설명을 하여 주랴 바쁘다. 각 학교에서도 오고, 가끔 이대(梨大) 학생들도 내려와서 점심을 먹고 박물관에서 먹으면 김치 같은 것을 내다 주기도 한다. 점심을 먹고 박연폭포(朴淵瀑布)를 보고 그쪽 고적 등지를 다 살피고 올라간다. <1933년 10월26일 '일기'에 첨가된 이점옥 여사의 글 중에서>

'송도고적'에 실린 글들은 모두가 주옥 같다. 1930~40년대 그리고 지방이라는 어려운 여건 아래에서 이러한 연구성과를 한 개인이 거두었다는 것은 실로 대단한 일이다.

물론, 현장 답사만이 가능하고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해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던 당시의 여건 때문에 앞으로 그 내용 가운데 일부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질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더라도 이 책 도처에 서려 있는 선생의 학문에 대한 태도와 탐구방법은 우리 후학들에게 여전히 좋은 지남(指南)이며, 한국미술사 연구의 굳건한 토대를 마련해 놓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주옥같은 글 가운데 선죽교(善竹橋)에 관한 글이 두 편 있다. 1937년 9월1일 '고려시보'에 발표한 '선죽위교석로하와 1939년 8월 '조광(朝光)'에 발표한 '선죽교 변(辯)'이 그것이다. 첫 번째 글의 제목은 "선죽교 높은 다리는 바위가 오래되어 갈라진 틈이 생겼다"라는 뜻으로, 마치 칠언절구의 한 구절 같은 매우 시적인 표현이 특징적이다. 이 제목은 '송도고적'에 실린 글 가운데 가장 독특한 제목임에 틀림없다.

사실 너무나 잘 알려진, 그러나 실상은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고적의 하나가 바로 선죽교인데, 이 글은 선죽교에 얽힌 역사적 사실들을 소개하는 비교적 평이한 내용의 글이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이로부터 약 2년 후에 발표된 '선죽교 변'이다. 우현 선생은 이 글에서 치밀한 문헌 사료의 조사를 통해 몇 백 년 동안 믿어 온 사실이 실은 사실과 다를지도 모른다는 강한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남효온(南孝溫)의 '추강집(秋江集)'을 인용하여, 고려말기의 충신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가 순절한 곳이 선죽교가 아니라 대묘동(大廟洞) 입구일 가능성이 높다는 추론을 끌어낸 것이다. 이는 지금의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남계원지 칠층석탑(국보 제100호, 경복궁으로 이전 후 모습). 우현은 4년에 걸쳐 연달아 세편의 글을 발표해 당시 개국사지 석탑으로 알려졌던 이 탑이 남계원지 칠층석탑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우현의 집요하고 치밀한 학문자세가 후학들에게 가르침을 주고 있다.


선가(禪家)에서는 '봉불살불(逢佛殺佛,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베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벤다)'는 말이 있듯이 진리를 밝히는 일에는 그 어떤 권위나 기존의 관념도 허물어야 한다는 가르침을 새길 수 있기 때문이다. 춘추필법(春秋筆法)은 시공을 떠나 언제나 공명정대해야 한다. 하지만 우현 선생은 공민왕을 소재로 한 역사소설을 쓰고자 하는 꿈을 가꾸어 온 문학도이기도 했다. 그래서 그런지, 선생의 글에는 추상 같은 싸늘함도 있지만 간혹 번뜩이는 재치나 웃음이 묻어나기도 한다. 이렇듯 누구나가 사실이라고 여겨 온 것이 사실과 다를 수도 있음을 제기하고서, "결말은 하여간에 선죽교가 포은의 순절처가 아니라면 놀랐던 일이라기보다 놀랄 만한 일이 아닌가"라고 마무리하는 것이 바로 그러한 대목이다.

'송도고적'은 고적을 주로 다루고 있으므로 수많은 연대가 등장하는데, 그 표기방식이 흥미롭다. 대체로는 일반적인 표기방식인 왕력(王曆)이나 연호(年號)를 쓰는 방식을 따르고 있다. 헌데 그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이 고려의 개국 연도를 기준으로 연대를 밝히거나 '지금으로부터 몇 년 전'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고려 개국 삼십삼 년 곧 광종 2년' 또는 '고려 개국 후 칠십팔 년, 즉 고려 성종 12년' 등의 표기가 그것이다. '송도고적'이 고려시대를 다루고 있으므로 이러한 표기법이 일견 자연스러워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여기에 또 다른 속내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한때 개성을 황도(皇都)라 스스로 부를 만큼 자부심이 높았던 고려왕조와 그 문화에 대한 우현 선생의 애정어린 표현으로 볼 수도 있고, 당시에 흔히 쓰던 일제의 연호 사용을 피할 수 있는 교묘한 방법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즉 '지금으로부터 구백삼십칠 년 전, 즉 고려 목종 3년'이란 표기방식을 취함으로써 '고려 개국 몇 년'이라는 연대 방식과 비록 이원적인 표기체제를 이루고 있지만 당시 사용해야 하는 일제의 연호(年號) 표기를 피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사소한 부분까지도 놓치지 않는 치밀함을 갖추면서 또 효과적인 방식을 강구해낸 지혜에서 우리는 우현의 인간적인 풍모를 엿볼 수 있지 않을까. 학자의 양심에서 진리추구라는 이상과 일제 강점기에서 민족의식을 지닌 지식인으로서 살아가야하는 현실 사이에서 고뇌할 수밖에 없었던 모습을 그 행간에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송도고적'은 유일하게 우현이 생존할 적에 우리 말로 탈고하여 출간된 단행본이라는 데 각별한 의미가 있다. 이후 열화당(1977년)과 통문각(1993년)에 각각 재발간되었다가, 열화당(2007년)에서 '우현 고유섭 전집' 가운데 제7권으로 간행되었다.

기회가 되면 개성을 찾아 우현의 발자취를 따라 우리의 문화유산을 순례하고 싶은 것이 후학들의 한결같은 소망이다. 그리고 수철동에 잠들어 계신 우현의 묘를 찾아 '우현 고유섭 전집'전10권 간행되었음을 고하고 평소 즐기셨던 술 한 잔을 올리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내년 인천아시안게임에 북한 선수단이 참가하고, 인천과 개성이 우현을 매개로 해 공동연구와 학술교류의 장을 만들어 내는 물길이 트이기를 소망한다.

/이기선(미술사가) solja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