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에 있어 건설경기는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지난해 IMF 사태이후 깊은 수렁에 빠진 지역 건설경기가 좀처럼 침체상태에서 벗어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니 걱정이다. 건설경기가 활성화되어야 지역경제가 잘 돌아가게 마련인데 지난해 최악상태에 이른 건설경기가 정부의 조기발주발표에도 불구하고 위축국면이 지속될 전망이라니 우려치 않을 수 없다.

 특히 건축경기는 지역건축업체들이 잇단 부도로 쓰러져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한 더욱 기대할 수 없다 한다. 지난해 인천지역 건축허가 건수는 90년들어 최저치를 기록, 건축경기 쇠퇴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인천시의 98년도 건축허가 현황에 따르면 건축허가 동수는 2천6백6건에 1백38만6천9백6㎡였다 한다. 이는 전년도의 3천73동 2백61만7천8백76㎡의 53% 수준이고 지난 90년도의 8천4백1동 6백64만6천93㎡와 비교하면 25%에 불과한 실적이어서 인천지역 건축경기가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공동주택허가는 76개동 6천8백99세대에 그쳐 시가 지난해초 수립한 주택공급 목표치인 2만호 건설계획에 45%에 그쳐 건축경기 후퇴가 지역 경제에 미친 타격은 클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문제는 이러한 전체적인 건축경기침체가 지난해 잇따라 발생한 인천지역 중견건축업체들의 부도여파에 영향을 받아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데 심각성이 있다.

 정부가 건설경기를 부양키위해 올 상반기에 건설공사를 조기발주토록 하고 있으나 지역 건설업체들이 자금부족과 건축경기가 불투명해 선뜻 나서기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라니 안타깝다. 건설경기가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엄청나다. 막대한 공사비와 인건비가 지역에 떨어져 보탬이 되고 특히 구조조정으로 직장을 잃은 실직자를 고용해 사회안정을 기할 수 있어 건설경기부양책을 바라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침체된 지방경제를 회생시키기 위해서는 공사의 조기발주도 중요하지만 부도로 쓰러진 건설업체들이 심기일전 할 수 있는 기회와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줘야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지난해말 바닥을 쳐 꿈틀거리고 있는 건축경기가 본격적으로 투자로 이어지도록 건축업자들에게 믿음을 심어줘야한다. 건축경기가 떠야 지역경제도 살아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