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역 중요기지, 유물로 위상 가늠
▲ 화성 당성 발굴 중 출토된 유물들. /자료제공=화성시

화성 당성이 고대 해상 실크로드의 관문이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 다량으로 추가 발견됐다.

12일 화성시에 따르면 최근 화성 당성 7차 정밀발굴조사 현장에서 열린 결과보고회 겸 학술자문회의에서 지금까지 발굴된 유물이 공개되며 당성의 역할과 위상이 재조명됐다.

문화재청의 허가와 화성시의 의뢰로 발굴조사를 맡은 한양대학교 박물관은 이번 발굴에서 여러 차례 증·개축된 대형 건물지에서 명문와를 포함한 기와, 토기류, 도기류, 자기류, 금속류, 석제품 등을 발굴했다.

안신원 한양대학교 박물관장은 “이번 발굴에서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유물과 국제 교류관계를 알 수 있는 유물들이 대거 발굴됨에 따라 과거 당성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며, “당성은 행정적, 군사적 거점이자 대중국 교역의 중요기지였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당성 초축과 관련된 1차성 내의 대형 건물지에 대한 정밀조사가 이뤄졌다. 해당 건물지는 적심이 축조된 층위와 축조 방식, 형태 등을 보아 6세기 후반에서 12세기에 이르기까지 3차례 이상 반복적으로 개보축 및 확장됐으며, 기존의 적심과 초석이 재활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출토된 유물들은 신라가 한강유역을 점유한 이후부터 고려시대 초·중반까지의 것들로 행정기관에서 사찰로 변모하는 특성을 보이며, 2차 축성의 이유를 파악하는 근거가 될 전망이다.

특히 주목되는 유물은 명문와이다.

신라와 통일신라의 기와( 본모피, 양모, 등)들이 출토가 많았다.

또한 중국의 형요(邢窯) 및 정요(定窯) 백자편과 월주요(越州窯) 청자편이 출토돼 국제교류의 모습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밖에 청동 초두( 斗)도 출토되었다.

서철모 화성시장은 “당성의 초축시기와 삼국시대 이후 당성의 기능을 확인하는 조사와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며, “당성의 역사적 가치를 바탕으로 우리 시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당성 발굴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한양대학교 박물관(02_2220-1393) 또는 시청 문화유산과(031-5189-6526)로 문의하면 된다.

/화성=이상필 기자 splee1004@incheonilbo.com


형요 : 중국 당나라 시기 백자를 굽던 유명한 가마터.

정요 : 중국 하북성(河北省)에 있던 백자 가마터

월주요 : 중국 저장성(浙江省)을 중심으로 발달한 청자 가마터

초두 : 술·음식·약 등을 끓이거나 데우는 데 사용하던 용기로 대부분 다리가 세 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