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4년간 1만1115명 실종
이중 2명은 아직도 못 돌아와
지난달 80대 숨진채 발견도

행적 알려주는 '배회감지기'
착용땐 평균 54분 위치 파악
경찰 4900대 고작…확대 필요
▲ 배회감지기

경기지역에서 치매를 앓는 노인들이 집 밖을 나섰다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실종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이동 동선 등 정보를 알려줄 시스템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인식표 쓰거나 경찰에 대여...경기 지자체, 배회감지기 무관심>

6일 경기남·북부경찰청에 따르면 도내 치매 노인 실종은 매년 3000건 안팎으로 발생하고 있다. 2017년 2571건, 2018년 3137건 2019년 3278건, 2020년 8월 2329건 등으로 최근 4년간 1만1115건이다. 하루 평균 7명, 한 달 210명 이상 실종되는 것이다.

치매 노인 실종사건은 '골든타임' 내에 찾느냐가 관건이다. 통상 48시간을 기준으로 잡는데, 겨울철은 더 짧아진다. 현재 실종사건의 경우 10명의 경찰관이 수색해 평균 14.8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대대적인 수색에도 장기간 찾지 못해 숨진 채 발견되는 등 가족의 품으로 영영 돌아오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19일 오후 1시쯤 부천에서 외출을 나간 80대 어머니가 실종됐다는 신고가 경찰에 접수됐다. 경찰은 즉시 일대를 수색했으나, 80대 노인의 행적을 찾지 못했다. 결국 이 노인은 다음날 오전 6시38분쯤 부천시 작동 한 하천에서 숨져 있는 채 발견됐다. 주민이 산책하던 중 노인을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한 것이다.

최근 4년간 실종된 노인 1만1115명 중 2명을 찾지 못했고, 가족들도 지금까지 생사를 알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참담한 사연이 끊이지 않는데에는 예방 시스템이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현재 치매 노인 실종 업무는 전적으로 경찰이 맡고 있다. 실종 신고 접수 이후 'CCTV' 등을 토대로 추적하는데, 이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실종 노인의 행적을 알려줄 '배회감지기' 착용 여부다.

시계처럼 손목 등에 착용하는 배회감지기는 치매 노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를 소지한 노인의 수색 시간은 통상 54분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현재 경찰이 보유한 배회감지는 4900여대가 고작이다. 도내 치매 노인 15만명에 견줘 3.2%로 수준이다. 이마저도 경찰이 기업과 협업해 확보한 수치다. 그동안 경찰이 필요성을 주장했으나, 지자체 대부분은 도입에 나서지 않았다.

'실종-장기간 수색-미발견' 등으로 이어지는 안타까운 사례를 막기 위해 배회감지기를 더욱더 늘려야 한다는 필요성이 나오는 이유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는 기업과 협업을 맺고 배회감지기를 도입하고 있고, 효과도 상당하다”며 “이같은 이유로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식표 쓰거나 경찰에 대여...경기 지자체, 배회감지기 무관심 경기지역에서 실종된 치매 노인 찾기에 핵심 역할을 하는 배회감지기가 부족한 데에는 지방자치단체 관심이 크지 않은 탓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들은 실시간으로 노인의 위치를 추적할 수 없는 '인식표'에 의지하고 있다. 일부는 경찰 등이 보유한 배회감지기를 넘겨 받아 쓰는 임시방편에 그치고 있다.정부도 이런 상황을 인지하고도 기기 보급 등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않아 지자체 간 편차가 심하다.6일 경기도와 지자체 등에 따르면 수원·용인·부천·안산 등 지자체 대부분은 배회감지기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인식표와 지문인식기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