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이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세(大勢)'라고 한다. 덴마크와 독일 등 외국에서 먼저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벌이자,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국내 자치단체마다 이를 도입하겠다고 나선다. 우리나라는 조선업과 터빈 개발 기술 등을 내세워 해상풍력 선진국을 뒤쫓는 모양새다. 물론 바다에 설치하는 풍력발전은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여기에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걸림돌은 없는지도 살펴보아야 한다.

인천 앞바다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이 오랜 시간 끝에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는 주민 참여 민간협의체를 구성하고, 덕적도 해역까지 해상풍력발전을 확대하기로 했다. 주민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먼저 다음달 용유·무의도 해상에 300㎿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남동발전과 해상풍력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한 지 13년 만이다. 오는 10월엔 덕적도 해상 300㎿ 발전사업 허가도 산업통산자원부에 신청할 방침이다.

인천 앞바다 해상풍력 발전사업은 2008년 용유·무의·자월 해상에 700㎿ 규모로 계획됐지만, 제도적 기반을 갖추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최근 국가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관련 제도를 마련하고, 풍력발전기 기술을 개발하면서 사업이 탄력을 받았다. 총 사업비는 3조원 규모다. 엄청난 예산이 들어가는 만큼, 철저한 사전 준비를 거쳐 완공하는 데 한치의 허점도 용납하지 말아야 한다. 해상풍력발전이 대체 에너지 공급에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 예산 낭비란 비판에 직면하게 된다. 가장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시는 지난달 말 옹진군 덕적면 7개 섬, 자월면 4개 섬, 중구 무의도와 용유동을 방문해 주민설명회를 열기도 했지만, 풍력발전에 대해 잘 모르는 주민들은 대부분 뜨악한 표정을 지었다고 한다. 주민 중심의 민간협의체를 꾸려 지역 의견을 사업계획에 반영하는 일이 중요한 이유다. 주민 수용성을 높이려면 당연한 조치일 수밖에 없다. 아울러 해상풍력이 탄소배출 등 각종 오염을 일으키지 않아 괜찮은 발전 모델이긴 하나, 비용 대비 효율성 면을 꼼꼼히 따져 추진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어렵게 바다에 설치한 풍력발전기는 커다란 '바람개비'로 전락할 뿐이다. 해상풍력발전이 애물단지로 남지 않도록, 사업을 벌이기 전에 더 면밀하게 추진 방안을 세우길 촉구한다.

/인천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