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인구 감소 현상으로 애를 먹고 있다. 시는 인구와 관련해 조직을 확대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다시 조직을 축소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이에 대한 논의를 한창 벌인다. 시는 '일시적인 인구 감소'라며 행정안전부에 인구 변동성 등의 특수성을 고려해 달라고 건의하는 등 조직을 지키느라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인천의 주민등록인구는 올 들어서도 감소세를 지속하며 294만명대마저 무너졌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4.2%로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인천 주민등록인구는 293만6461명이다. 한 달 전보다 5244명 줄어든 수치다. 올 들어 석달 연속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말 294만2828명이었던 주민등록인구는 1월 294만2452명, 2월 294만1705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주민등록인구 감소폭은 6367명에 이른다.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자연적 요인(72명)보다 인구 이동을 반영한 사회적 요인(1435명)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시는 올해 검단신도시 입주로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본다. 인천연구원도 2030년까지 인천에 10만명(도시계획상 인구)이 유입될 것으로 예측한다. 하지만 그 전에 전체적으로 인구 감소세가 지속되면 조직을 줄여야 하는 처지라 난감할 수밖에 없다. 시 조직은 현재 17개 실·국·본부로 짜여 있는데, '지방자치단체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은 인구수에 따라 자치단체 조직 규모를 정한다. 2018년 인구수 295만명을 넘어선 인천시는 이 기준을 적용해 2019년 8월 2개 국을 확대 개편했지만, 지난해 인구수 295만명 선이 무너지면서 2개 국을 다시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인천시는 심상치 않은 인구 감소세를 감안해 태스크 포스팀을 꾸려 '인구정책 발굴'에 매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실국별 인구를 늘릴 방안을 마련하려고 한다. 인천시가 추진 중인 방침에 일리는 있으나, 인구 정책은 큰 틀에서 짜야 한다. 중앙 정부에서도 골치를 앓는 문제이기도 한데, 점점 줄어드는 국내 인구에 대해 각계에서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얘기다. 인천시는 왜 다른 지역으로 인구가 빠져나가는지에 초점을 맞춰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먼저 사회적 요인을 살펴 대처해야 할 때다.

/인천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