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부의 유혈진압으로 희생자가 잇따르자 시민들이 무기를 들고 저항하는 등 사태가 악화되고 있다. 점점 광주민주화운동과 같은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부르게너 유엔 미얀마 특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공개 회의에서 “미얀마 군부의 잔혹행위가 심각하고 시민들도 무장하고 있어 전례 없는 규모의 내전이 벌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피바다가 임박했다. 더 이상의 만행을 막지 않으면, 세계는 지금 예방하는 것보다 장기적으로 훨씬 큰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2월1일 미얀마에서 쿠데타가 발생한 이후 570명이 숨지고, 2728명이 구금됐다. 특히 지난달 말부터 군부의 진압 강도가 높아지면서 최근 일주일 동안 200명 이상 목숨을 잃었다. 이렇게 자국민을 무참히 살육하고도 국제사회의 비난과 제재 따위는 대놓고 무시하고 있다. 1980년 5월 광주에서 만행을 저지른 전두환 신군부와 유사하다.

미얀마 국민들은 국제사회에 희망과 기대를 걸고 있다. 하지만 규탄만 난무할 뿐 실질적인 움직임이 없어 고립무원의 상태다. 국제사회는 미얀마 사태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 그것이 21세기 세계정신이며 보편적 인류애다. 특정 국가의 문제에 국제사회가 개입한 사례는 얼마든지 있다.

국제사회가 미얀마 평화를 위한 결사체 구성에 합의하고 미얀마 군부를 압박하면 사태 악화를 막는 실마리를 찾을 수도 있다. 미얀마 군부가 응하지 않는다면 실효성 있는 제재를 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4•19, 5•18, 촛불시위 등의 시민혁명을 통해 민주주의를 이룩한 아시아 유일의 국가다. 미얀마 사태는 우리에게 '강 건너 불'만은 아니다. 미얀마가 내전 등 파국으로 치달으면 국내에 거주하는 미얀마인 2만5000여명은 난민으로 전락하게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새로운 물음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참담했던 우리의 전철을 밟고 있는 미얀마에 대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아시아 민주주의 종주국으로서 우리가 미얀마 평화를 위한 결사체 구성을 국제사회에 제안하고 실천적으로 주도해보자.

/인천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