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비무장지대 및 한강 하구 등 북부권에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을 지정하는 문제를 놓고 고심 중이라고 한다. 이 곳 생태 환경을 지키고 지역 가치를 높이기 위해 추진해 왔지만 지역 주민들의 피해 의식을 넘지 못해서다. 접경지역인 이 곳 주민들은 지금까지도 군사시설•문화재 보호구역 등 각종 중첩 규제에 시달려 온 터라 또 하나의 규제가 보태지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고양•파주•김포 일대의 DMZ와 한강 하구 일대를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고양시의 경우 구산•법곶•대화•장항•신평동 등이다. 파주시는 적성•진동•진서•군내•장단•파평•탄현면과 문산읍이다. 김포시 월곶•하성•양촌면도 대상 지역이다. 그러나 3개 자치단체 모두 당장 동참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고양시의 경우, 경기도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현지 주민이나 행주 어촌계 등 생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생물권 보전 지역 지정 뒤 불이익이 생길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고양시는 지난 10년 동안 한강 하구 전체를 람사르 습지로 등록하려 했으나 인근 파주•김포시민들의 반대에 부닥쳐 왔다. 이때문에 지금은 고양 장항 습지만 단독 등록을 추진하고 있다.

민통선이 많은 파주시도 투자 목적으로 토지를 구입한 이들이 토지 가치 하락을 우려하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했으면 하는 입장이다. 다만 같은 접경지역이지만 연천군은 지난해 6월 국내에서는 7번째로 유네스코 임진강 생물권 보전 지역 지정에 성공했다. 여기서도 추가 규제를 우려하는 주민 반대가 있었지만 생물권 보전 지역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을 통해 주민 공감대를 끌어낸 덕분이라고 한다.

경기도는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돼도 아무런 법적 규제가 없다는 사실을 해당 지역 시민들에게 널리 알린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민관협의체를 꾸려 방안을 찾아나갈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면 생태관광이나 환경보전적 개발 등 유네스코 차원의 지원도 있지만 무분별한 개발이 억제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경기 비무장지대나 한강 하구의 생물권 보전 지역 지정도 중요하지만 해당 지역 시민들의 삶도 고려하는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인천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