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를 2025년에 사용종료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정작 서울시장 후보들의 생각은 다르다. 서울시장 후보 토론회에서 주요 후보들은 인천시 목표와는 다른 입장을 밝혔다. '매립지 이슈'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의 경우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한 협상을 하겠다는 원론에 그칠 뿐, 구체적인 대안은 내놓지 못한다.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도 현재 서울시내엔 쓰레기를 매립할 장소가 없으니, 인천시와 협의를 잘하는 수밖에 없다고 한다. 경실련의 서울시장 후보 정책질의 답변서에서도 매립지 종료에 따른 실질적인 방안은 없다.

주요 후보들은 대안 없이 공통적으로 2025년 이후에도 수도권매립지를 사용하겠다는 의도를 내비쳤다.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사안의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는 듯하다. 인천시가 30여년 동안 다른 지역 쓰레기를 받으면서 환경적 피해와 희생을 감내해온 사실을 묵과하는 행태다. 인천시가 당초 합의대로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폐기물 발생지 원칙'을 지키자고 하는 일은 지극히 당연한 요구다. 그런데도 서울시장을 하겠다는 후보들이 이런 상황을 어물쩍 넘어가려는 데 대해선 자괴감마저 든다. 인천시민을 무시하고 우롱하는 처사 아닌가.

환경부는 서울시장 선거가 끝나면 인천시장을 비롯해 서울시장과 경기지사와 매립지 문제를 협의할 예정이다. 인천을 제외하면 모두 현실적 한계를 이유로 대체매립지 건립이 아닌 잔여부지 추가사용 카드를 꺼내 들 공산이 크다. 지금으로선 환경부가 진행하는 대체매립지 공모도 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2015년 4자 합의 이후 별다른 해법을 찾지 못하던 수도권매립지 문제가 또 다시 격랑에 휩싸일 수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인천시는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정치적 입장을 고려하지 않아야 한다. '매립지 종료'라는 인천시의 뜻을 서울시와 경기도에 적극 전달하고, 주도적으로 협상 방안을 모색해야 할 터이다. 상대가 여당·야당이든 상관 없이 초지일관으로 버텨야 한다.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명운을 걸었을 정도로 급박하다. 그런 만큼 서울시와 경기도는 '수도권매립 타령'만 하지 말고 인천시 뜻에 부응해야 마땅하다. 그렇지 않으면, 자칫 자치단체 간 상생은커녕 얼굴만 붉히는 꼴이 되기 십상이다.

/인천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