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인천 낭만시장의 설치물.

일제강점기 송현동, 송림동 일대를 한때 '북촌'이라고도 지칭했다. 서울의 북촌은 양반 동네였지만 인천의 북촌은 그렇지 않았다. 고단하고 차가운 삭풍이 불어대는 마을이었다. 1899년 경인선 철도가 놓인 이후 동인천역은 오랫동안 남쪽 방향으로만 출입구가 나 있었다. 북촌 사람들은 역에 내려 집에 가려면 배다리철교나 화평철교 밑을 통과해 멀리 돌아가야만 했다. 이 때문에 철길 무단횡단이 빈번했고 기차에 치는 사망 사고가 종종 일어났다.

1955년 인천시의회는 중앙시장에서 동인천역을 직접 통할 수 있는 지하도 설치를 결의한다. 그런데 역 남쪽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지하도 설치를 반대하는 청원서를 인천시의회 의장에게 제출한다. 번화하고 안정적이었던 남쪽 지역과 달리 피난민들이 모여 사는 빈궁한 북쪽 동네가 가깝게 통하는 것이 못마땅했던 듯하다. 오랫동안 삽도 뜨지 못하다가 1963년에야 길이 70m의 굴다리 지하도가 개통되었다. 경인선 개통 60여 년 만에 비로소 동인천의 남과 북이 연결된 것이었다.

필자는 태어나서 서른 살까지 북촌에 살았다. 컴컴하고 좁은 굴다리 지하도를 지나야 '낭만'이 흐르는 동인천 다운타운에 다다를 수 있었다. 낭만과는 거리가 멀어서 늘 '뒤편'으로 밀려나 있던 송현동 쪽이 어느 날 '앞쪽'이 되었다. 2011년 동인천 북광장이 생겼고 기존의 인현동 방면 광장은 사라지면서 앞뒤가 뒤바뀐 것이다.

요즘 동인천역 북광장에서는 '제3회 동인천 낭만시장'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주말 낭만시장에 나가 보았다. 광장 한편에 레트로풍에 맞춰 옛 가게들을 재현했고 화려한 조명을 설치해 놓았다. '낭만'은 가게 간판에만 그려져 있고 동인천 북광장에는 차디찬 삭풍만 불었다. 예나 지금이나 내 고향 북촌은 그리 낭만적이지 않다.

/인천시립박물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