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적 한옥 관리…북촌 일대 112만㎡ 진흥구역으로
밀집지역 지구단위 계획 지정에도 53동 중 11동 철거
인천시 '개항기근대건축물밀집지역 건축물등에 관한 계획' 지형도면 고시도 /자료출처=인천시청
인천시 '개항기근대건축물밀집지역 건축물등에 관한 계획' 지형도면 고시도 /자료출처=인천시청

2000년대 초반 인천시는 근대건축물, 서울시는 한옥 보전 대책을 발표했다. 인천시는 2000년 중구 일대 역사문화지구 지정 계획을 내놓고, 3년 뒤 '개항기 근대건축물 밀집지역 지구단위계획'을 지정·고시했다. 서울시는 2002년 '한옥지원조례'를 제정한 데 이어 '북촌 한옥밀집지역' 지정·공고에 나섰다. 출발선은 비슷했지만, 행정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서울시의 한옥 보전 정책이 처음부터 순탄했던 건 아니었다.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한옥 보전·진흥 정책의 평가와 개선방향 연구(2013)' 보고서는 “북촌 가꾸기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미흡한 주민 참여, 공동체 활력 저하 등의 문제점이 제기됐다”며 “장기적 차원에서 북촌 가꾸기가 추진될 수 있도록 북촌장기발전구상이 2006년 수립됐다”고 진단했다.

시행착오는 2008년 '서울한옥선언', 2010년 북촌 지구단위계획 수립 등으로 보완됐다. 서울시는 정기적인 한옥 재고 관리를 통해 현황을 파악했고, '멸실제어·보전지원·신규조성' 등으로 구역별 정책을 세분화했다. 2001년부터 2011년까지 한옥 28채를 매입하기도 했다. 마을 공동체 사업도 뒷받침됐다.

이런 조처는 지난 9월 종로구 가회동·삼청동·안국동 등 북촌 일대 112만8372㎡ 면적에 대한 건축자산진흥구역 지정 결정으로 이어졌다. 건축자산 발굴조사에 이은 진흥구역 지정으로 서울시는 한옥을 유지하면서 수선 비용과 환경 정비도 동시에 지원하기로 했다.

반면 인천시 '개항기 근대건축물 밀집지역 지구단위계획'에 보전 대상 건축물로 분류됐던 53동 가운데 11동은 철거된 상태다. 시는 지난해 지구단위계획을 변경·고시하며 보전 대상 목록을 52동으로 수정했는데, 이미 철거된 근대건축물 10동이 포함되기도 했다. 근대건축물 수난사는 현재 진행형이다.

손장원 인천재능대 교수는 “북촌 한옥마을 역시 개발 규제로 20년 넘게 갈등이 벌어졌지만 서울시가 일부 한옥을 매입해 문화센터·마을서재 등으로 활용하고 주민 주도형 계획 수립을 유도했다”며 “단기적 성과에 매몰되지 않고 동네를 살리겠다는 행정의 진정성이 뒷받침돼야 주민도 신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