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이 직접 사회서비스 노동자를 고용해 처우를 개선하고 서비스 질을 높이고자 마련된 '경기도 사회서비스원'이 새로운 보금자리 찾기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도내 기초정부가 고용 유발 등에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이유로 사회서비스원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30일과 31일 각각 남양주종합재가센터와 수원에 있는 경기도인재개발원에서 '사회서비스원 이전 관련 도내 시•군 공모 설명회'가 열렸다. 북부와 접경지역 등으로 이전이 확정된 사회서비스원에 대한 공모 참여를 독려하자는 취지에서다.

그러나 이날 열린 설명회는 생각보다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설명회 전 참여 의사를 밝힌 곳 역시 겨우 2곳에 불과할 정도로 썰렁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앞서 사회서비스원과 함께 공공기관 이전이 발표된 '경기교통공사'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경기도일자리재단'과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을 두고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는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실제 이전 대상 지역 모든 곳에 취재를 하면서 사회서비스원 이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봤다. 그러자 돌아오는 대답은 '사회서비스원에 대해 잘 모른다' 또는 '지역에 별다른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아 유치를 희망하지 않는다'가 대부분이었다.

사실 지역 내 공공기관이 들어선다면 대개 긍정적인 부분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도내 기초정부가 교통공사와 환경에너지진흥원 등을 원하는 이유도 일자리 창출은 물론 도시 이미지 제고에 큰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사회서비스원만큼은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보금자리 찾기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갈 데가 없다는 난관에 봉착했다. 이사를 준비하던 사회서비스원 역시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누구도 원하지 않는' 현실을 두고 '자괴감'을 느낀다고 말한 관계자도 있었다.

상황이 이렇자 일각에선 현재 위치인 수원에 남아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돌봄 노동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 사회서비스 같은 경우 무엇보다 접근성이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태수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는 “사회서비스원은 이전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본다. 교통이 편리한 남부지역에 그대로 있어야 돌봄 노동 종사자들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제언했다.

이처럼 현재 사회서비스원은 중요한 기로에 놓였다. 앞서 제 역할을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도마 위에 오른 사회서비스원은 중장기 로드맵을 그리기 위한 연구용역 등 적극적인 대처에 나선 상황이다.

이런 사회서비스원이 흔들리지 않고 올바른 길로 나아가기 위해선 기초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 이달 예정된 사회서비스원 공공기관 이전 공모에 '복지'에 관심이 있는 기초정부들의 진심 어린 도전을 기대해 본다.

 

/임태환 경기본사 정경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