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확대 세계적 추세…한국도 돌파구 고민을"

영국의 공항 확장 움직임을 유심히 관찰해온 현지 전문가들도 '항공수요 분산', '경제적 효과'에는 특별한 이견 없이 타당하다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경기도 신공항도 이와 똑같은 내용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정책의 방향을 잡는데 영국의 우선 사례가 거론되는 배경이 여기에 있다.

백남규 영국 런던 브루넬대학 교수는 "히드로는 세계 상위권 공항이고 역사가 오래됐으나, 여객수요의 포화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수요에 맞춘 활주로 확충 등 정책의 긍정적 효과는 다양하다"고 밝혔다.

지난 1월 21일 영국 런던의 억스브리지 소재 대학 사무실에서 만난 백 교수는 "항공의 확대로 경제적 파급력이 크다"며 "인천공항만 봐도 교통, 상업, 주거 등 시설이 들어섰다. 영국도 히드로, 개트윅 등에서 엄청난 인프라가 구성됐다"고 설명했다.

백 교수는 1990년 국내 아시아나항공에 입사한 뒤 영국 히드로공항 지점장 등을 지냈고, 보다 세밀한 항공분야 연구를 위해 지난해 2월 영국으로 건너갔다.

그는 "히드로 제3활주로는 기존에 있는 부동산을 보상수용하고, 기존에 있던 터미널을 연계해서 고속기차가 다른 지역에도 관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뤄질 전망"이라며 "관광산업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무수히 많은 런던 호텔은 항상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 외 일자리 창출 등 효과를 보면 공항이 늘어나거나 커지는 것의 파급력은 단순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백 교수는 최근 중국의 공항 건설 등 추세에 미뤄 한국의 공항도 돌파구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백 교수는 "중국 등 세계적으로 공항 확대 조짐이 뚜렷해지는 만큼 한국도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결국 이용객들이 교통으로 공항까지 이동하는 과정이 얼마나 편리한가, 탈 수 있는 항공은 얼마나 되나 등 서비스 캐파(용량·CAPA)가 관건이다"고 말했다.

단순히 지역의 사정으로 항공수요를 속단하는 것은 섣부르다면서, 저가항공(LCC)의 확대 방안등은 당국이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제언했다.

실제 국내에서 저가항공사들이 새로운 성장의 활로를 모색한 바 있다. 티웨이항공이 대구공항을 새로운 거점으로 차별화한 것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다.

/글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
/사진 김철빈 기자 narodo@incheonilbo.com
/통•번역= 김환희 ghksgml10012@naver.com



관련기사
[경기도 신공항 '공론화'가 답이다] 5. '찬·반' 있으나 '갈등' 피한 영국 공항정책 '글로벌리제이션(세계화·Globalization)'의 핵심에는 공항이 있다.이에 한국 뿐 아니라 많은 국가가 공항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사회적 논란도 동시에 겪어왔다.영국이 공항을 추가로 놓으려는 시도도 문제에 직면했다.최초 추진 뒤 14년 동안 양극의 합의가 좀처럼 이뤄지지 않으면서 갖가지 부작용도 우려된다.그런데, 극심한 충돌은 없다.현지 관련 단체는 "우리는 현명한 싸움을 한다"고 표현한다. 시민과 기관, 그리고 민-민 충돌이 걷잡을 수 없는 국내와 180도 다른 사정이다.# '극과 극'을 [경기도 신공항 '공론화'가 답이다] 4. 인구 800만 공항 6개도 부족한 영국 런던 "the airport is economic.(공항이 곧 경제다)"영국에 10년 넘도록 '공항 열풍'이 가라앉지 않는 건 한마디 주장 때문이다.런던 권역에 무려 6개의 공항을 뒀으면서, 히드로공항은 '유럽 제1위'로 도약한 시점.하지만 공항을 더 지으려는 영국의 욕심은 끝나지 않았다.'경제'로 시작해 '경제'로 끝나는 목적을 내세운다.주민들의 지지층도 꽤나 결집 돼 있다.새로운 공항으로 성장 활로를 모색하는 이 사례는 국내 대도시인 경기도와 비교 대상에 오르곤 했다."배워야 [경기도 신공항 '공론화'가 답이다] 3. '곧 포화'라는 국내 항공시장, 흐름은 경기도 신공항을 뒷받침하는 주장 중 하나가 '항공수요 포화'다.미래에 여객이용이 더욱 늘어나고 기존 대표 공항인 인천공항·김포공항이 공급을 수월히 할 수 없다는 말이다. # 세계, 한국 항공시장 '장밋빛 관측'발단은 정부의 예상부터 비롯됐다.국토교통부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5~2019)'의 수요 및 공급 예측치를 보면 인천공항의 국제선 여객수요는 2035년 1억1255만명에 육박(연평균 4.3%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그러나 인천공항의 여객처리능력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경기도 신공항 '공론화'가 답이다] 2. 경기도 '항공메카' 현실성은 경기도는 대한민국의 중심지역이다.지표만 보아도 가늠할 수 있다.지난해 12월 기준 인구 1365만명으로 서울의 1.5배, 부산의 3.9배다.730만명에 달하는 경제활동인구도 서울 1.4배, 부산 4.2배다.1만1433개 벤처기업, 577만대 자동차 등등. 다양한 통계에서 대부분 '전국 1위'다.이는 항공업 관점에서 '블루오션(유망시장)'이 따로 없다.도에서 한 달 사이 만들어지는 여권의 수는 10만 건을 웃돈다.2018~2019년 사이 237만5161건이 발급됐다.하지만 유일하게 공항이 없는 지역이다.전 경기도 신공항 '공론화'가 답이다 경기도에서 '신공항 건설'을 요구하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 4일 수원·화성·평택·안산·안양·과천·오산·의왕 등 경기남부 8개 지역 시민들은 '경기남부권역 국제공항 유치 도민연합회'를 출범시켰다.경기도는 전국 최대 인구·산업·교통 등의 집약지로 모든 경제지표에서 상위권이지만 현재 공항은 한 곳도 없다.4·15 총선에 나선 일부 예비후보들도 '신공항 건설'을 공약으로 내걸었다.반면 공항이 갖는 소음 등 문제에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찬·반 대립은 예견됐다. 공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의 [경기도 신공항 '공론화'가 답이다] 1.끊임없는 '유치요구', 경기도 신공항의 부상 공항. 비행기로 나라의 안과 밖을 빠른 시간에 오가는 욕구가 커진 현대 들어 필요성도 거대해졌다. 지역단위의 '인프라(기반시설)'에도 빼놓을 수 없다.이런 가운데 최근 던져진 한 개의 화두가 수원, 화성, 성남 등 경기지역 곳곳을 떠들썩하게 하고 있다. 바로 '신공항'이다.인구는 물론 경제의 중심지에 공항이 들어선 뒤 발생할 파급력은 일자리 창출, 관광 활성화 등 상당한 '발전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평가된다.하지만 결국 비용이 수반되고 이용객 확보, 주민 주거권 등에 대한 다각도의 검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