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소각장 문제와 관련, 박남춘 인천시장이 민·관협의체를 통해 풀어간다는 방안을 내놨다.

청라 주민들과 머리를 맞댄 간담회에서도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시장이 직접 나서서 챙기는 방식의 정공법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쓰레기 소각장은 하루라도 가동이 멈춰지면 시민들의 일상 생활이 바로 지장을 받게 된다. 주요 환경시설을 둘러싼 갈등이 인천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공동체적 삶이 지속적으로 영위되려면 해답을 찾아내야만 한다. 대립과 갈등, 목소리 크기만으로는 풀리지 않는다. 끊임없는 소통을 통한 거리 좁히기가 답이다.

청라소각장은 인천 6개 군·구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환경시설이다. 이미 내구연한(2015년)이 지나 인천시는 시설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인구 10만으로 불어난 청라국제도시의 주민들은 이전·폐쇄를 요구하고 있다. 쓰레기 소각장이 위치한 곳에서는 대기오염물질 발생 등에 대한 우려가 크다. 청라 주민들의 목소리에도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지난 4일 인천시가 청라 현장에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장기적으로는 지역별로 소각장을 건립해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간다는 방침도 나왔다. 그러나 주민들의 관심은 청라소각장의 이전·폐쇄에 집중됐다.

이에 박남춘 시장은 "소각장 문제와 관련, 청라 주민 대표와 인천시 공무원이 함께 하는 협의체를 가동하겠다"고 했다. 이 기구의 논의 결과는 시장이 그때그때 직접 보고 받도록 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그러면서 "주민들이 우려하는 것처럼 소각장을 증설하지도 않겠지만 대안 없이 무조건 폐쇄하는 것도 능사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지방정부의 행정은 전체 시민들의 일상 생활을 보살피고 유지시키는 일이다. 환경시설의 확충·운영 등은 정치의 영역과는 거리를 두어야 한다.

오직 표만 바라보는 정치가 개입되면 문제가 더 꼬이게 됨을 우리는 여러 차례 보아왔다.
그간 끝없이 대치해 온 인천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갈등도 최근 타결을 향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역지사지 마음가짐의 상호 소통만이 매듭을 풀 수 있다는 얘기다. 청라소각장 문제를 짊어질 민·관협의체에 기대를 거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