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마크 개발·관광벨트 조성키로
MRO 기업 유치·특별법 제정 숙제
'공항경제권'을 통한 인천의 산업 생태계 변화가 가시권에 접어들었다. 그동안 공항 구역에만 국한된 공항경제 발전이 외국 유수 공항처럼 주변부까지 확장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접근성과 규제완화 등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인천시와 인천산학융합원이 30일 중구 영종도 네스트호텔에서 공동으로 개최한 '인천항공산업육성 전략 수립 토론회'에서 인천공항 경제권 계획이 발표됐다.

'인천공항 경제권 종합 추진 계획'을 공개한 김명진 인천공항공사 경제권기획팀장은 "앞으로 공항경제권은 공항의 운송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는 광역의 산업 생태계를 이룰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팀장에 따르면 네덜란드 스키폴 공항의 '공항도시-공항회랑'과 미국 멤피스 공항의 '에어로폴리스(공항도시)'는 자생적 수요 창출을 위해 공항 인근에 주도적·적극적으로 산업 생태계를 조성했고, 공항과 중앙·지방정부 등이 거버넌스를 구성해 공항과 상호 보완적 적합 업종을 유치 중이다.

인천형 공항경제권 역시 인천시와 인천공항공사가 손을 잡고 공항 생태계를 전환시켜 인천의 기존 산업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공항이 구상하는 공항경제권은 '인천공항 자체가 거대한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사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과 '기존 개발 시설과 시너지 효과를 확보할 대표 랜드마크 도시 개발', '중국 창이공항의 기존 주차장 부지를 활용한 랜드마크를 개발해 여객터미널 용량 확대 및 대규모 신규 수요 창출', '복지리조트를 중심으로 배후 관광자원과 연계를 통한 공항 중심의 관광산업 벨트 조성' 등이다.

김 팀장은 "인천공항이 구상하는 공항경제권 추진을 위해서는 항공정비단지(MRO) 기업 및 교육기관 유치와 접근 교통수단 필요, 규제자유특구법 제정 등 특별법 제정 등이 필요하다"며 "공항경제권은 지역경제뿐 아니라 국가경제에 막대한 산업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인천은 항공산업을 통해 ▲영종 항공정비, 제조·항공물류, 관광·MICE ▲청라 드론, 항공금융, 항공수출 ▲송도 항공우주, 항공부품, 제조혁신 등으로 육성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가 지난 3월부터 내년 1월까지 진행하는 '인천항공산업육성 기본계획' 용역을 수행 중인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의 최승환 상무는 "인천공항의 대북교류 관문화 및 북한항로 개설로 구주 항공노선의 허브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며 "이에 북한의 개성과 남포를 주요 후보지를 유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