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일선 지자체가 일본제품을 쓰지 않는 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나 청사의 안전을 책임지는 무인경비시스템은 일본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는 '노 재팬'을 외치면서 정작 청사의 보안 제품은 일본 브랜드에 의존하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 1일 경기신보와 함께 일본 수출규제 피해기업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특별보증을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노재팬으로 피해가 발생한 기업들을 도와주겠다는 것이 특별보증의 취지다. 경기도가 기업들의 피해를 챙기는 모습이지만 청사 보안은 일본 브랜드에 맡긴 셈이다.
경기도와 지자체가 애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은 국내 기업인 삼성의 에스원이다. 문제는 에스원이 론칭한 브랜드가 일본기업인 세콤(SECOM)이기 때문이다. 에스원의 최대 주주는 25.65%를 보유하고 있는 세콤이고, 일본의 키다 코이치와 국내 육현표 씨가 공동대표이다. 론칭한 삼성은 SDI가 11.03%, 삼성생명이 5.34%에 불과해 삼성의 전체지분보다 세콤이 더 많은 실정이다. 이런 지배구조에 따라 세콤은 해마다 수백억원의 배당금을 챙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만 세콤은 244억원의 배당금을 받았다. 여기에 보안시스템 순매출액의 0.64%에 해당하는 로열티까지 세콤의 주머니로 들어간다고 하니 해마다 수백억원이 일본기업으로 새 나가는 셈이라 볼 수 있다.

세콤이 일본 브랜드임에도 행정기관이 애용한다는 것은 요즘 세태에서 충분히 고민해볼 사안이다. 특히 전 국민이 일본 제품 안 쓰기 운동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행정기관이 이를 외면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이치다.
현재 경기도 내 세콤 설치 현황을 보면 구리시와 부천시만 국내 업체 제품을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 29개 시·군과 경기도청은 세콤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국민의 일본 제품 '안 사기, 안 쓰기' 운동 방향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모습이다. 국내 보안업체의 한 관계자는 "행정기관에서 세콤을 고수하다 보니 명함도 못 내민다"고 하소연한다. 경기도와 지자체들은 일본 브랜드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품질 좋은 국내 브랜드에도 눈을 돌려봐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