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전국 최하위 체감 안전도를 보인다. 그러니 시민들은 불안해 할 수밖에 없다. 시민들이 체감·공감할 수 있는 치안 대책을 하루빨리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15일 인천경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선 올해 상반기 인천의 체감 안전도가 72점으로 전국 17개 지방청 중 16위를 기록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미추홀경찰서의 체감 안전도는 전국 255개 경찰서 중 254위로 꼴찌 수준이었다. 인천은 지난해 상·하반기엔 16위와 14위를, 2017년 상·하반기엔 14위와 12위에 오르는 등 최근 3년간 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반면 치안 서비스 품질 수준을 측정하는 치안 고객 만족도는 지난 8월 전국 3위를 차지했다. 평소 지역 치안에 대해 느끼는 시민들의 '심리적 요인'이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인천은 다양한 유형의 치안 수요를 갖고 있는 도시다. 일단 공항과 항만을 끼고 있어 마약류 범죄가 꾸준히 늘어난다. 따라서 이런 지역적 특수성을 감안·대비한 치안 정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그런데도 우선 경찰관이 제대로 늘어나지 않는다. 인천지역 경찰관 1인당 담당 인구는 470명으로 전국 평균 429명보다 많다. 대도시란 점을 고려할 때 경찰관 증원이 시급하다. 지역 내 경찰서 유무도 시민들의 심리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지난 8월 영종경찰서 신설 사업 확정 전까지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이 컸던 게 대표적인 사례다. 이처럼 인천의 치안 인프라가 타 지역에 비해 뒤떨어진다는 얘기는 벌써부터 나왔다. 인천 도시 규모가 커지는 데 비해 경찰 인력과 장비 등은 부족하기만 하다. 국회의원과 지역사회 등에서 힘을 모아 활발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인천의 치안 수요를 감안하더라도 매년 체감 안전도가 전국 하위권이라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주변에 범죄가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시민들이 마음 한편에서 경계심과 불안감을 키운다면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경찰도 단순한 예방 활동에 그치지 말고 범죄 증가 요인에 대한 분석과 유관기관 협조를 통해 치안 정책을 세워야 마땅하다. 시민 눈높이에 맞는 치안 행정을 추진해 체감 안전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기를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