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포총량 규제·특화상품 확보

 

 

 

▲ 유병국 교수<br>
▲ 유병국 교수
▲ 이희준씨<br>
▲ 이희준씨

 

그동안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에는 대규모 예산 지원을 통한 노후시설 정비와 주차장 확충, 관광객 유입을 노린 문화관광형시장 육성 등이 주를 이뤘다.

전통시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하려면 지역 상권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부터 해야 하는데 대형 유통 자본 규제 문제에만 초점이 맞춰졌다. ▶관련기사 3면

유병국 인천대학교 글로벌법정경대학 무역학부 교수와 이희준 전통시장 도슨트는 꽤 오랜 시간 인천 업계 안팎에서 상권 분석에 관심을 기울여 온 인물들로 평가된다. 인천 시장을 고민하는 학자와 현장 전문가다.


▲"지역상권 분석 시급"

지역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활동을 펴고 있는 유병국 교수는 인천지역 전반적인 상권 분석을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해 지역별 수요에 맞는 상권 공급 균일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유 교수는 "전통시장과 대규모 점포, 복합 쇼핑몰, 대형마트와 전문·할인점 등 전반적인 상권 수급 상황을 봐야 한다. 어디에 있고 어느 정도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지 등 보급 현황과 지역 인구 정보 등을 축적해야 한다"며 "상권 밀집지역과 (인구대비) 부족한 곳이 있다 보니 소비자들이 제공받는 서비스도 다르다. 유통생태계 차원에서 접근해 전체 상권을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내 상권 상생을 위한 지자체 차원의 역할도 주문했다.

"대전에서는 대규모 점포에 대한 총량규제를 한다. 대형마트는 더 못 들어오고 백화점 경우는 공익적인 목적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면서 "인천시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전반적인 현황 파악을 토대로 규제가 필요한 부분은 총량적으로 규제하고 보호 상권은 보호해 각자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시장, 신뢰 회복이 키워드"

전국 전통시장 가치와 소중함을 알리는 인천 출신 전통시장 도슨트 이희준씨는 인천 전통시장이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상품의 다양성과 전문성을 꼽았다.

그는 "인천 일대 도매시장이 한정돼 상품이 다양성을 갖기 어렵고 타 시장 또는 대형마트와 비교하더라도 큰 차이가 없다"며 "온라인시장 확대 추세에 맞춰 개별상점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스토어팜 등 채널을 각각 개설해 온라인 판매를 진행하고 타 시장·상권에 없는 나만의 특화상품을 확보하는 등 경영선진화 작업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우수 타 지자체 전통시장 벤치마킹도 제안했다.

"서울 망원시장과 부산 부전시장, 경기 광명시장 공통점은 상인 90% 이상이 앞치마를 매고 있다는 것이다. 기본적인 위생부터 지키자는 것"이라며 "신포국제시장과 같은 문화관광형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신기시장, 정서진시장, 모래내시장처럼 생활형 골목시장이 지역 주민에게 환영을 받는다. 시장은 기본적으로 생활형시장으로서 해당 시장 지역주민에게 환영받고 이용자가 증가해야 미래가 밝다"고 했다.

아울러 "전통시장 활성화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신뢰회복이다. 잘되는 상점의 공통점은 스스로 학습하고 공부하며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좋은 사례는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해 상점에 반영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김원진·곽안나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 전통시장 리포트] 함께 움직여야 시장이 산다 2008~2018년 실적 전국 12위…인구 유입 '장애물'시설 개선도 '밑 빠진 독'…임대료 부담은 전국 3위인천지역 원도심 전통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기까지 가장 시급한 일은 일대 유동인구 회복이다. 원도심이 새로운 주거 중심지로 탈바꿈하는 정비사업이 유동인구 회복의 주요 해법으로 꼽힌다.우선, 시장 주변에 사람부터 많아져야 매출을 회복할 기회를 잡는다. 정비사업으로 유입된 신규 주민들을 어떻게 시장 골목으로 끌어올 건지는 다음 문제다.▲인천 정비사업 실적 전국 하위권, 사람 없이 전통시장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