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생 교과 평가는 서열화가 아닌 학생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확인하는 수단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도교육청은 최근 성남시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정책 포럼을 열고 성장 중심의학생 평가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이형빈 경희대 교육발전연구위원은 기조 발제를 통해 "'평가의 공정성'을 강조하다 보면 '평가의 자율성'이 위축된다"며 "그러면 '평가의 전문성'이 신장할 여지가 없어져 평가에 대한 불신이 제기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교과 평가는 크게 지필 평가(선다형)와 수행평가(서술·논술형 포함)로 나뉜다.


 지필 평가는 평가에 대한 신뢰를 얻을 수 있지만 타당성은 확보하기 어렵다. 학생의 지식 암기 여부는 선다형 평가로 확인할 수 있지만 문제해결 능력까지 알 수 없다는 얘기다.


 수행평가는 반대로 인식된다.


 이 위원은 "신뢰성과 타당성을 동시에 확보하려면 학교는 교육부와 교육청의 지침에 의존해 평가를 관리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자율적으로 평가 혁신을 시도하려는 문화와 시스템이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학교 대부분은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나눔 등에서 범교과적 협의가 활성화돼 있다"며 "그러나 평가계획 수립과 실천에서는 여전히 형식적인 교과 내협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다른 교과의 평가 계획에 대해 논의에 부치는 것을 금기시하는 학교 분위기를 꼬집었다.


 이 위원은 "교사에게 필요한 평가의 전문성은 '오류가 없는 평가 문항을 출제해명확한 기준으로 채점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성장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돕는 방법을 찾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생을 일정한 기준과 틀에 따라 서열화하는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존재 가치를정당하게 인정받고 성장과 발달을 도모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번 포럼에서는 현장의 교사들도 학생 평가 방식 개선에 관한 목소리를 냈다.


 부천지역 고등학교 교사는 "수행평가의 경우 평가 요소나 채점 기준의 객관화, 투명화 등 공정한 평가를 위해 교사들이 연구하면서 부족한 면을 채워가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고 밝혔다.


 고양지역 중학교 교사는 "평가가 교사 개인에게만 책임이 주어질 때 문제가 없는 평가를 목표로 할 수밖에 없다"며 "평가 책임을 교육공동체로 확대하면 학생 성장을 목표로 개선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의정부=김은섭 기자 kimes@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