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등 인접지역 대규모 예찰 불구
자체운영 수렵단 23명 중 5명만 차출
양돈농가 밀집 ASF 확산시 큰 피해

경기도가 최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방지를 위해 경기지역 24개 시·군에서 멧돼지 총기포획을 실시하라는 공문을 하달했음에도 화성시가 포획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논란이 일고 있다.

17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2일 연천군 비무장지대(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시작으로 최근까지 7마리가 ASF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이 확인됐다.

야생멧돼지 감염 사례가 확인되면서 그만큼 멧돼지가 주 감염원일 가능성도 커졌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 14일 농산물에 대한 피해와 상관없이 ASF 차단 방역 강화를 위한 야생멧돼지 포획을 요청했다.

야생멧돼지 예찰 활동을 강화하고 멧돼지 포획단을 상시운영 체계로 전환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접경지역인 파주시는 지난 15~17일 군인 30명, 엽사 24명, 직원 10명 등 52~64명이 6개 조로 나눠 야생 멧돼지 23마리를 포획했다.

가평군도 수확기 피해방지단 50여명, 도내 시군 수확기 피해방지단 200여명, 군 66사단, 경기경찰청, 국립생태원 등 300여명이 투입돼 포획활동에 나섰다.

하지만 화성시는 지난 16일부터 자체운영 중인 수확기 피해방지단 23명 중 5명만 차출해 화성 서부권 2명, 동부권에 3명의 포획단을 운영하고 있다.

시의 전체면적은 692.5㎢에 달한다.

특히 야산에서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멧돼지를 5명의 포획단이 잡겠다는 소극적 수렵계획은 논란이 일고 있다.

화성시는 현재 81개 양돈농가에서 돼지 15만8000두를 사육하고 있어 ASF 확산시 대규모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한수양돈연구소 관계자는 "쉽게 감염되는 ASF 특성상 상당수가 ASF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한 마리가 감염되면 같이 접촉한 모든 개체는 다 질병에 걸리고 100% 폐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시 생태환경팀 관계자는 "화성은 동부지역 끝 지점 일부만 멧돼지가 분포하고 있다"며 "인력증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증원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어 "시는 수확기 야생동물 피해 방지단을 운영 중이며 현재 주민들의 피해 신고가 접수되는 만큼 멧돼지나 고라니가 어느 지역에 분포하는지 대략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의 설명과 달리 지난 10일 오전 화성 서부지역인 팔탄면 한 국도변에 야생 멧돼지가 출몰해 포획되기도 했다.

/화성=김태호 기자 thkim@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