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노력 '한몫'
용인시 편입돼 불편했던 생활권 개선
"'행정구역'이라는 이유로 오랜 세월 벌어졌던 주민들의 해묵은 불편이 씻겨 내려가듯 해소되고 있습니다. 수원시 덕분이죠."

15일 오후 수원시 영통동 청명센트레빌 아파트. 아이와 손을 잡고 단지 주변에서 산책하고 있던 학부모들은 "요즘 어떠냐"는 질문에 이처럼 입을 모았다. "저도 학교가 너무 가까워져서 좋아요" 학부모와 대화 중, 함께 있던 아이들도 나서 자신의 좋은 기분을 표출했다. 표정은 미소를 한가득 머금었다.

수원시의 끈질긴 노력으로 이뤄진 '행정구역 경계조정' 지역의 현재 모습이다. 불과 경계조정 한 달 만에 주민과 아이들은 일상생활의 변화에 큰 행복을 느끼고 있었다.

주민 A씨는 "경계조정의 역사는 누구보다 우리 주민들이 잘 안다. 국내에 없던 일이다보니 기관들의 노력이 부족했다"며 "그런데 유독 수원시만 달랐다. 우리가 공식적으로 도움을 요청했던 7년 전부터 계속 주민들과 소통하고 해결방법을 찾으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233가구의 청명센트레빌은 애초 용인시 관할이었다. 1994년 수원 영통신도시가 개발됐는데, 인근 8만5857㎡의 토지는 용인 영덕동으로 편입됐다. 'U'자형으로 분리된 토지는 사실 용인보다 수원에 훨씬 가까웠다. 결국 '생활권 불일치'가 빚어졌다. 주민이 '불편한' 수준을 넘어선 행정서비스를 받아야 했다. 가까운 '수원 영통 1동 주민센터'를 두고 2.3㎞ 떨어진 용인 영덕동 주민센터를 이용해야 했다.

아이들의 통학환경은 심각했다. 초등학생들은 아파트에서 불과 100여m 떨어진 수원 황곡초등학교를 못 다녔다. 용인시 관할의 흥덕초는 1.19㎞ 거리. 왕복 10차선 도로까지 건너야 했다. 학부모들은 늘 노심초사였다.

폭우 등에는 더욱 위험성이 컸다. 급기야 주민들은 2012년 3월 집단 항의했고, 수원과 용인이 서로 땅을 맞교환하는 방식의 협의가 시작됐다. 그러나 용인시는 세수가 부족하다는 등의 이유로 협의를 지속 거부했다.
정부도 관련 근거가 미비하다며 나서지 않았다. 반면 수원시는 '주민 편의'를 지켜주자며 용인시에 꾸준히 접촉했고, 정부에 정책을 제안하는 등 행정적 시도를 포기하지 않았다.

염 시장은 지자체장으로는 이례적으로 청와대 국민청원에 "주민이 불편하고, 어린 아이들은 학군배정에 따라 먼 길 통학을 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라는 내용의 청원을 내기도 했다.

시의 이 같은 노력이 전적으로 해결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경계조정 사안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효과는 확실했다는 게 주민들의 생각이다.

이상희 입주자대표회장은 "용인시와 시의회의 노력도 당연히 있었지만, 수원시가 장기적으로 노력하고, 주민들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