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벌이는 자체 폐기물 매립지 조성 사업의 과제는 무엇일까. 일단 입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투명성과 객관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시민들의 의견이 나왔다. 지난 1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친환경 자체 매립지를 주제로 열린 '인천 시민시장 대토론회' 참가자들이 내놓은 결론이다. 시는 수도권쓰레기매립지 2025년 종료를 앞두고 자체 매립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사업에 대한 주민 참여와 공감을 이끌어내려고 250여명의 시민들이 참가하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자체 매립지 조성의 조건'을 물었더니 34%가 입지를 선정할 때 투명성·객관성을 담보해야 한다고 답했다. 다음으론 소각재 매립 방식 전환 26.8%, 매립지 주변 완충 녹지 조성(23.2%), 직·간접 인센티브 확보(15.2%) 순이었다. 자체 매립지 조성엔 함께 인식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미를 둘 수 있겠다.
시와 10개 군·구는 이를 바탕으로 자체 매립지 조성에 한목소리를 냈다. 자원순환 선진화와 친환경 쓰레기 자체 매립지 조성에 공동 협력하기로 하고 그제 합의문을 발표한 일이다. 시장과 군수·구청장은 우선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줄여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자치단체뿐만 아니라 시민들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각종 정책을 개발·추진하더라도 쓰레기를 대폭 감량하지 않고선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인천은 물론 우리나라 전체가 받아들여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여기에 재활용도 빼놓을 수 없다. 시와 군·구는 폐기물 배출·수거·선별·처리 시설 기반을 마련해 재활용을 최대한 늘리기로 했다.
인천지역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2017년 1일 2280t에서 지난해엔 2797t으로 517t 늘었다. 앞으로 생활소비 패턴 변화와 일회용품 사용 증가 등으로 인해 생활폐기물은 늘어날 게 뻔하다.

이런 현상을 해소하는 일이 다급해졌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 존립 근간을 뒤흔들 수 있다는 점에서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합의문도 좋고 정책도 쓸모 있지만, 시·군·구와 시민들이 협조하고 실천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폐기물 발생량 감축을 통한 자원순환 선진화는 이 시대의 큰 화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