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송림동 일대에 추진하는 인천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사업에 대해 안전성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이 사업은 2017년 6월 인천시·동구·한국수력원자력·두산·인천종합에너지주식회사 등이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본격화했지만,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중단됐다. 그런데도 인천연료전지 측은 그제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사업체 선정 등 준비가 끝나는 대로 이달 중 공사를 재개하겠다"고 말했다. 업체는 "다만 민관 안전·환경성 조사에 진전을 보일 경우 공사를 하면서 조사에도 적극 협조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주민들은 발전소 예정 부지 근처에 아파트 단지가 있는데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사업의 백지화를 주장한다. 건립에 반대하는 주민 비상대책위원회는 강경한 저지에 나서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차 밝히기도 했다.

주민들이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주민들은 얼마 전 강릉과학산업단지 수소탱크가 폭발하면서 이런 발전소도 있다는 걸 알았다. 이후 포스코 광양제철소 수소 폭발, 노르웨이 수소충전소 폭발 등 수소 관련 사고가 발생하자 발전소에 대한 안전 검증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지금은 '수소연료전지발전소 반대 전국행동'이란 단체까지 결성됐을 정도다. 그만큼 주민들의 안전을 무시하고 전국적으로 수많은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세웠다는 얘기다. 가동 중인 국내 수소연료전지발전소 50곳 가운데 34곳은 반경 1㎞이내에 초·중·고교를 포함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2015년부터 최근까지 정부가 허가한 수소연료전지발전 사업은 모두 77건에 달한다. 정부는 이들 발전 사업을 내주기 위한 심의를 할 때 반드시 주민수용성을 따져봐야 한다. 인근에 학교나 아파트 등 주민공동시설이 들어서 안전에 문제를 일으킬 소지를 안고 있으면 재검토를 해야 마땅하다.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도 이런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정부가 주민수용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사업을 마구 허가하면 주민과의 갈등은 불을 보듯 뻔하다. 주민들은 안전과 환경을 철저하게 검증할 수 있는 대책을 요구한다. 수소연료발전소 사업 안전성을 조사하는 과정에 주민들이 참여할 방안도 찾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