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상담교사는 중·고교에서 학생의 학업·진로·이성문제 등 학교생활 전반에 대해 상담·지도하는 일을 한다. 학생들의 생활지도 정책과 방법 개발을 위해 조사·연구하고 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그런 전문상담교사들은 지금 어떤 상황에 놓여 있을까. '인천 학교상담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그제 열려 관심을 모았다. 토론회에서 전문상담교사들은 학생들의 상담을 체계화하려면 관련 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학교상담의 법제화를 통해 충분한 상담 시간을 확보하고 명확한 업무 분장을 하면, 더 큰 업무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천에는 모두 181명의 전문상담교사가 각 학교에 배치돼 있다. 그런데 전문상담교사제를 도입한 지 15년이 지났어도, 법률이 아닌 한시적인 훈령을 바탕으로 운영될 뿐이다. 따라서 수업시간에 학생을 상담할 근거도 없고, 학교별로 상담교사 업무도 천차만별이다. 안정적인 상담 업무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여러 제한된 시간으론 심층적인 학생 상담을 하기 벅찬 게 현실이다. 특히 전문상담교사가 학생과 상담을 하려고 학부모 동의를 구해야 하는 것도 하루 빨리 개선돼야 할 일이라고 한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겠다는 취지에서 이날 인천전문상담교사노동조합 창립총회가 열리기도 했다. 인천전문상담교사노조는 "학교 현장에서 상담을 더 잘하기 위해 올바른 교육과 상담정책이 수립·이행되도록 하겠다"며 "인천교육 혁신과 개혁의 선봉자로 자리매김하도록 힘을 쏟겠다"고 했다. 노조창립을 통해 학생·학부모·교사와 공감하고, 진정성을 가진 상담·교육정책이 이뤄지길 바란다.
이른바 학교 비교과 교사(전문상담·사서·보건·영양)에겐 이처럼 애로사항이 많다. 교육부의 비교과 인력 고용형태 현황 자료를 보면 2019년 통계 기준으로 전국 평균 정규교원 비율은 보건교사 76.1%, 영양교사 51.7%, 전문상담교사 45%, 사서교사 30.5%에 불과한 상태다. 하지만 비교과 교사는 교과수업 외적인 영역에서 수준 높은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구실을 한다. 교육 당국은 이들의 역할을 절대로 무시하지 말고 제대로 일을 할 수 있게끔 대책을 세워야 할 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