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이후 인천 쓰레기를 별도로 처리할 자체 매립지 후보지가 내년 초 윤곽을 드러낸다.

자체 매립지에는 20년간 소각재와 불연성 폐기물만 묻는다는 기준이 제시됐다.

자체 매립지 조성과 동시에 소각시설 확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인천시는 10개 군·구와 자원순환협의회를 구성했다.

시는 30일 시청에서 '자원순환 선진화 및 친환경 자체 매립지 조성 연구용역' 착수 보고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시는 내년 8월까지 인천연구원이 진행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폐기물 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2025년까지 생활폐기물을 그대로 묻는 직매립량을 제로(0)화하는 전략을 세운다.

서구 수도권매립지 제3-1매립장이 2025년 포화 상태에 이를 것에 대비해 인천 폐기물을 따로 처리하는 자체 매립지 후보지도 선정한다.

수도권 공동 대체 매립지 조성이 환경부의 후보지 공모 참여 거부로 지지부진하자 박남춘 인천시장은 지난 25일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발생지 처리 원칙' 대책을 마련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연구용역 자료를 보면 인천만의 단독 매립지는 내년 1월 선정된다.

최종 3개 후보지가 정해지면 이후 6개월간 입지 타당성 조사와 주민 설문, 인센티브를 비롯한 갈등 최소화 방안이 제시된다.

자체 매립지 면적은 최소 14만㎡, 최대 50만㎡ 규모로 예상된다.

2026년부터 20년간 쓰일 자체 매립지에는 소각재와 불연성 폐기물만 매립한다는 기준이 세워졌다.

향후 인구와 매립량을 고려하면 생활 폐기물 소각재만 묻을 경우, 부평공원(11만3000㎡)보다 조금 넓은 13만8168㎡ 면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사업장 폐기물까지 포함하면 현재 사용 중인 수도권매립지 3-1매립장(103만㎡) 절반에 이르는 50만9359㎡의 부지가 필요하다.

자체 매립지 기준대로 소각재만 매립하려면 소각시설 확충이라는 과제도 남는다.

현재 가동되는 소각시설은 청라·송도 자원환경센터에 그친다.

이번 연구용역에선 군·구 또는 권역별 소각시설 추가 방안이 함께 검토된다.

시는 이날 10개 군·구와 자원순환협의회를 구성해 첫 회의를 가졌다.

시 수도권매립지정책개선단 관계자는 "자원순환 선진화를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군수·구청장과의 합의문 체결 등 협의회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