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맹시장 현주소]
▲  26일 오후 인천 남동구 구월동 로데오거리에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이 즐비하게 들어선 모습 .



국내 가맹시장이 양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 중 절반은 1년을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불황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임대료와 인건비, 물가까지 상승곡선을 그리고 외식업에 쏠리는 업종 편중 현상, 직영점 운영 경험이 부족한 가맹본부 등의 요인들로 가맹시장의 질적 성장은 둔화되는 양상이다.

▲활발한 탄생, 짧은 생존기간

26일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간한 '가맹업계의 갈등, 상생협력을 위한 방안은?'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국내 가맹 브랜드 수는 총 5741개다.

이 중 외식업이 4341개로 전체의 75.6%를 차지했으며 서비스업은 1076개(18.7%), 도소매업은 324개(5.6%)였다. 외식업 가운데 치킨 가맹점은 2만5000개(22%), 한식 가맹점은 2만개(18%), 커피는 1만3000개(11%)로 집계됐다.

프랜차이즈 중 외식업의 비중이 높은 데에는 비교적 낮은 초기 투자비용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예비창업자가 한 브랜드의 가맹점주가 되기 위해 해당 본부에 지불하는 초기비용은 평균1억1760만원이다.

외식업이 1억원으로 가장 저렴했으며 도소매업은 1억2000만원, 서비스업은 1억8000만원으로 조사됐다. 비교적 낮은 허들이 외식업의 양적 성장을 이끌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이들의 생존기간이 매우 짧다는 데에 있다. 지난 2015년 한 해 동안 생겨난 프랜차이즈 브랜드 2224개에 가운데 절반 수준인 47%(2224개)가 1년 안에 문을 닫았다.

2014~2016년 3년동안 모두 존속한 브랜드는 38.3%인 3049개에 불과했다.

▲사업 위험성 키우는 無직영점 가맹 브랜드

창업자들의 대다수는 생존을 걸고 가맹점을 연다. 수억원의 돈을 내고 창업을 꿈꾸지만 정작 가맹본부의 절반은 직영점 운영 경험이 없다.

가맹 브랜드 가운데 직영점이 없는 경우는 59.5%로 10곳 중 6곳이 해당한다. 특히 진입 장벽이 낮은 외식업의 경우 평균을 웃도는 60.8%로 나타났다.

직영점이 없는 가맹 브랜드 중 직영점을 운영하다 중단한 곳도 있었지만, 전체의 82%가 직영 운영 경험이 전무했다. 보고서를 발간한 이진국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직영점을 운영하지 않으면 상품 경쟁력 제고나 시행착오 개선 기회가 줄어 가맹점에 사업 위험이 전가될 개연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분쟁의 씨앗되는 가맹계약 조건

가맹점을 차리기 위해 본부에 지불하는 초기비용은 평균 1억1760만원.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인테리어 비용이다. 평균 5339만원으로 전체 비용의 45.4%다. 가맹비는 1012만원(8.6%), 교육비·보증금은 763만원(6.5%)에 그친다.

일부 가맹본부는 협력업체와 가맹점 간 인테리어 계약을 맺도록 한다. 인테리어비는 곧 본부의 수익으로 이어진다.

이 연구위원은 "인테리어비가 본부의 중요한 수입원으로 자리하게 되면 점포 추가 개설에 대한 본부의 유인이 높아지게 된다"며 "이는 나아가 본부와 사업자 간 상생협력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문제를 꼬집었다.

로열티와 영업지역도 본부와 가맹점 간 갈등요소다.

정액형 로열티가 28만원, 원부자재비율형·정률형 로열티가 1%p 오르면 본부의 매출액은 각각 12억2000만원, 5억9000만원, 9000만원씩 오른다.

반면 가맹점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줄어든다. 특히 매출액과 무관하게 책정되는 정액형은 가맹점의 영업이익을 감소시키는 데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국내 가맹업계의 41.8%가 정액형을 택하고 있으며 매출액에 따라 연동되는 정률형을 택한 경우는 25.4%에 불과하다. 영업지역은 좁을수록 본부에는 득, 가맹점은 손해다.

지역이 좁을수록 본부는 많은 가맹점을 유치할 수 있지만, 가맹점은 영업범위가 좁아진다. 특히 외식업에서 거리 기준 영업지역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데 범위가 0.69㎞에 그친다.

▲상생협력 방안 찾아야

KDI는 가맹사업 자격 요건을 부분적·한시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특히 외식업처럼 편중도가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직영점을 운영해 가맹점 사업자를 모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봤다.

실제 중국은 가맹본부가 2개 이상 직영점을 확보하고 영업기간이 1년을 초과해야만 가맹점을 모집할 수 있게 했다. 일본도 프랜차이즈협회 윤리강령으로 직영점 운영을 요구하고 있다.
가맹계약 조건 개선도 주문했다.

이 연구위원은 "원부자재 계약에 있어 정부·업계 간 논의를 통해 상품의 통일성 유지와 무관한 품목들은 원부자재 공급계약에 포함되지 않도록 업종별 '필수품목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원부자재 유통마진 중 최소한의 물류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로열티로 일원화되도록 유도해야 한다"라며 "가맹점별 실적을 투명히 공개해 가맹점주들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작고 매출액을 늘리는 정률형 로열티 문화를 정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