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 내 일부 도시공사들의 폐해가 잇따라 드러나 연일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유형도 다양하다. 인사·채용 비리와 재정 운영 부실, 업체의 향응에 따른 도덕적 해이, 무리한 사업추진 등이 지적된다.
우선 최근 불거진 광명도시공사의 비리는 가관이 아니다. 인사·채용과 재정 운영 부실이 심각하다고 한다. 광명시의 '광명도시공사 특정감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공사는 인사·채용 분야 22건, 회계·지출·재산관리 등 재정분야 21건 등 모두 43건의 지적을 받았다. 임직원 행동강령을 위반해 본인 가족과 수의계약을 체결하는 등 그동안 지역에서만 떠돌던 공사의 비리도 사실로 확인됐다.
화성도시공사 직원들의 비위도 만만치 않다. 감사결과 화성도시공사 전직 임원들은 불법 전매로 취한 이득금 3억원으로 성과금 잔치를 벌였고, 민간 사업자와 함께 수차례 향응성 해외여행을 다녀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해외 현지에서 민간사업자들로부터 교통편의와 식비 등을 제공받은 것으로 드러나 지탄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용인도시공사도 최근 구설수에 올랐다. 용인도시공사는 올해 초 기흥역세권 2구역의 도시개발사업 참여를 위해 시행자도 아니면서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했다가 파기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물의를 빚었다. 성급한 과욕이 화를 부른 사례다. 이와함께 김포도시공사도 올 초부터 민간이 추진 중인 도시개발사업부지에 다른 민간사업자와 공동으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해 논란이다. 다른 민간사업자인 B사가 이 사업부지에 대한 지구단위계획 주민제안을 접수해 2013년 7월부터 도시개발사업을 추진 중이기 때문이다. 도시공사는 태생이 공공자본으로 공공재 성격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기업이다. 그런데 일부 도시공사는 최근 느슨한 감시를 틈타 편법과 불법을 자행해 비난을 사고 있다. 사리사욕과 각종 비리가 판치고 있다 하니 어처구니 없다. 특히 성과주의와 무리한 사업영역 확대 등은 신용등급 악화로 이어져 부실 공기업이라는 오명을 쓰기도 한다.

도시공사의 불명예가 더이상 계속돼선 안 된다. 도시공사가 이제 '종합 비리공사'라는 오명에서 벗어나려면 각골지통(刻骨之痛)의 자세로 혁신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