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상가임대차 실태조사]
▲ 22일 오후 인천시 주요8개 상권 가운데 하나인 중구 신포동 중심상권을 찾은 시민들이 상가주변을 지나고 있다.

 

▲ 인천지역 8개 주요상권 1층 입점 사업체 조사(610곳)
▲ 인천지역 8개 주요상권 1층 입점 사업체 조사(610곳)

 

인천지역 1층 입점 610곳 조사결과

상권별 권리금·보증금·월세 차이커

임대료·인건비 고충 … 평균 4.35년

투자비 낮은 신포 6.89년 운영 최장


소상공인 77.7% 임대차보호법 몰라

상가건물분쟁조정위 97% 필요 의견
 

 

'2019년 인천시 주요상권 상가임대차 실태조사'는 급속한 상권 변화로 증가한 상가임대차 정보 수요에 대응하고, 지역 소상공인 정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됐다.

이를 통해 최근 3년간 지역 주요상권의 임대료, 권리금, 분쟁유형 등을 파악했으며 △계약 갱신 요구권 행사기간 확대 △권리금 회수 기회 보장 기간 확대 △차임 등 증감 청구 시, 임대료 증액 한도 제한 확대 등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 인천지역 8개 주요상권 1층 입점 사업체 조사(610곳)
▲ 인천지역 8개 주요상권 1층 입점 사업체 조사(610곳)

 


▲ 상권별 격차 뚜렷

상가를 매입하거나 임차하는 사람이 보증금과 임대료 외 주인에게 지급하는 웃돈인 권리금의 규모는 곧 장사가 잘 되는 자리를 뜻한다. 기존 점포가 가지고 있는 고객과 영업권을 이어받는 대가로 지급하기 때문에 유동인구가 많은 곳일수록 권리금이 높아진다.

인천지역 주요 8개 상권에 입점한 현 점포를 인수한 임차인들의 68.2%는 권리금을 지급했다. 평균 6500만5000원으로 단위 면적당(㎡) 권리금을 환산하면 평균 107만원 수준이다. 면적당 100만원 이상의 권리금을 지급했다는 응답은 44.0%를 차지한다.

상권별 권리금 규모의 차이는 뚜렷하다.

 

▲ 인천지역 8개 주요상권 1층 입점 사업체 조사(610곳)
▲ 인천지역 8개 주요상권 1층 입점 사업체 조사(610곳)

 

백화점과 터미널 등으로 안정된 상권을 가지고 있는 구월의 단위 면적당 평균 권리금은 178만4000원으로 8곳 중 가장 높았다. 서울도시철도 7호선 개통으로 형성된 굴포천역 중심상권은 122만6000원, 송도는 116만원, 논현은 115만7000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반면 신포(50만원) 상권은 타 상권에 비해 현저히 낮은 권리금이 형성됐으며, 상위 상권에 견줘 3분의 1 수준으로 집계됐다.

보증금도 구월(146만6000원), 부평(119만원)이 높고 신포(35만5000원)가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월 차임 또한 구월(8만4000원), 논현(6만5900원), 부평(6만5200원) 등이 타 상권보다 높았다. 가장 낮은 신포(2만2200원)에 비해 약 3~4배 차이다.

높은 금액을 주고 귀한 자리를 얻었지만 한자리에서 점포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데는 한계에 부딪혔다.
상권별 점포 운영 기간을 보면 비교적 투자금이 적은 신포상권이 평균 6.89년으로 가장 길게 조사됐으며 계양(5.53년), 주안(5.00년)이 그 뒤를 이었다. 권리금 등 투자금이 높은 구월상권의 평균 운영 기간은 4.02년으로 전체 평균(4.35년)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들 상권의 업종은 수시로 바뀐다.

임차 이전 사업체와 동일한 업종을 유지한다는 응답은 주안(61.8%), 신포(58.4%)상권에서 과반을 넘겼으나, 구월(22.7%)과 부평(23.7%) 등은 타 상권에 비해 저조한 수준을 보였다.


▲ 열악한 환경 속 생업 이어가는 소상공인들

인천지역 주요상권 소상공인의 절반 이상은 점포 운영이 어려운 이유로 임대료(58.2%)를 꼽았다. 인건비는 32.1%로 그 뒤를 이었다.

10명 중 6명은 지난해에 비해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주요 8개상권 내 상가 1층 입점 사업체의 63.0%는 매출이 하락했으며, 하락률은 '20~50% 미만'이 63.8%로 가장 높았다. '50%이상' 감소했다는 반응도 22.4%에 달했다. 전년 대비 평균 하락률은 31.6%p다.

상권별 하락률은 주안(78.9%), 신포(77.9%), 송도(68.4%), 청라(65.3%)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 하락률이 64.3%로 타 업종에 비해 가장 컸다.

한 해 영업이익을 고려할 때, 최초 사업장 개장 시 권리금 및 초기 투자한 비용을 회수하는 평균 기간은 3년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5년 미만'은 37.7%, '5~7년 이상'은 20.5%로 전체의 58.2%가 3년이상 걸린다고 답했다.

약 10개 중 2개 업체(21.5%)는 초기 투자비용을 회수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권별로는 주안(36.8%), 송도(27.8%), 신포(27.3%), 논현(26.0%) 순으로,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25.4%)에서 미리 지급한 권리금과 초기 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보증금과 월 차임 외 임대인에게 관리비 등의 명목으로 부당하게 비용을 지급하고 있다는 소상공인은 10명 중 1명 수준(11.0%)으로 집계됐다.

이들 중 65.8%는 관리비로, 6.3%는 수선비 등으로 부당 비용을 지급했다고 답했다.


▲ 임차인 보호하는 촘촘한 체계 절실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사회적 약자인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됐다. 상가 건물 임대차 표준 계약서, 기간·계약의 갱신 차임 및 보증금 증액 제한, 대항력, 우선변제권, 권리금 회수 기회 보호 등이 주요 골자다.

하지만 조사대상 소상공인 10명 중 8명가량(77.7%)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내용은 물론 분쟁 발생 시 대응방안을 잘 모른다고 답했다. 상가건물 임대차 계약과 관련 인천 내 피해구제와 지원을 담당하는 기관인 '인천시 불공정거래피해상담센터'의 존재를 아는 상인은 13.1%에 그쳤다.

실제 임대인과 임대차 관계에서 13.6%가 복수 응답 기준으로 임대료(78.3%)와 수리비(16.9%), 권리금(10.8%) 등의 이유로 분쟁을 겪는 등 지속적으로 분쟁은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분쟁은 임대인의 요구를 수용(41.1%)하는 방향으로 마무리된다. 임차인의 요구를 수용하는 비율(8.4%)의 약 5배가 높은 수준이다.

서홍진 인천소상공인서민금융복지지원센터 불공정거래피해상담지원팀장은 "현재 인천시 상가건물 임대차와 관련된 분쟁은 대한법률구조공단 수원지부에 설치된 상가건물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에서 심의·조정하고 있다. 인천시 상가건물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설치와 운영이 시급하다"라며 "응답자의 97%가 지원기관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만큼 현재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센터를 더욱 홍보하고 지원을 강화해 소상공인들의 안정적인 영업환경을 조성하겠다"라고 말했다.

/글·사진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 주요상권 입점업체 절반은 3년 만에 폐업 인천지역 주요 8개상권 상가 1층에 입점한 사업체의 절반 이상이 5000만원 이상의 권리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점포의 태반이 3년을 채우지 못하고 문을 닫는 것으로 드러났다.손에 떨어지는 이익이 없거나 적자임에도 '울며 겨자 먹기'로 운영을 지속하는 업체도 6곳 중 1곳 이상이었다. ▶관련기사 7면22일 인천시 불공정거래피해상담센터가 지난 7월30일부터 8월11일까지 인천시 주요 8개 상권(계양·구월·부평·송도·신포·논현·주안·청라) 내 특정구역 상가 1층 입주 사업체 61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상가임대차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