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의 쓰레기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당초 계획했던 종료 시점보다 1년 앞당겨질 전망이다. 현재 2025년 8월까지 사용이 예상됐던 3-1공구가 일찍 문을 닫아야 할 형편이다. 이제 수도권 쓰레기 처리가 발등의 불이 됐다. 대체 방안 없이 이대로 가다간 수년 후에 쓰레기 대란을 겪게 될 공산이 크다.
인천이 대체 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최근 핵심 역할을 담당할 환경부마저 대체매립지 공모제는 어렵다는 입장을 인천시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렇게 되면 실제 수도권매립지 반입량의 80% 정도를 차지한 서울, 경기 등도 각자도생의 길로 갈 수밖에 없다. 인천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쓰레기 산을 만들었다는 부정적인 도시 이미지만 키운 셈이다.

2015년 6월 매립지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합의도 그동안 지켜지지 않았다. 생활폐기물 직매립을 없애고 건설·사업장 폐기물 매립량을 감축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다. 환경부와 대체매립지 조성 사업비 분담에 있어서도 정부는 3개 시·도의 건의와는 달리 정부 부담을 늘릴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인천시가 직매립을 제로화하고 소각 처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기에 이르렀다.
박남춘 시장이 환경부와 3개 시·도가 맺은 4자합의의 무산 상태에서 서울과 경기도의 쓰레기를 더 이상 받지 않겠다는 주장은 충분한 이유가 있다. 단독 매립지 조성을 검토하고 있는 박 시장은 인천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본격적인 시동을 건 모습이다. 이와 관련 공론화위원회를 열고, 오는 11일 5~6년 후 종료되는 수도권매립지 이후 대체할 친환경 쓰레기 처리 방안에 대한 대토론회를 연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10개 군·구도 자체 매립지를 설치해야 한다는 전제로 소각장 설치 등을 논의할 방침이다.

하지만 16일 중구·부평구 등 인천 6개 지자체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청라소각장 현대화 사업 주민설명회는 강력한 주민 반발에 부딪혔다. 직매립 제로화 정책이 벌써부터 갈등 상황이어서 우려된다. 인천 지자체별 각자 처리라는 발생지 처리 원칙 카드가 나오는 마당에 친환경을 핵심으로 시와 주민이 최대공약수를 반드시 도출해야 할 것이다. 쓰레기를 앞마당에 안고 살 수도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