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우 경기본사사회부 기자

주민들이 가장 원하는 공통적인 현안을 두고 소통하지 않는 지자체들이 있다. 수원시와 화성시이다. 발단은 '군공항 이전'이다. 주민 요구가 있어도, 공통적 문제여도 수년째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개발규제로 꼽히는 고도제한 면적은 수원 약 58㎢, 화성 40㎢. 전투기 소음에 노출된 시민은 지표상으로만 25만3044명(수원18만6456명, 화성6만6588명).


도심 속에서 각종 문제가 나옴에 따라 군공항을 옮기는 사안은 자연스레 지역의 오랜 숙원이 됐다. 국방부도 현 위치에서 작전상 고충을 겪기도 한다.
2013년 법이 제정됐고, 2017년 국방부가 현 화성 화옹지구를 예비이전 후보지로 지정했다. 화성시는 이때부터 '일방적인 지정'이라며 논의를 거부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3년째 지역 간 대화가 단절됐다. 원인을 화성시의 '이탈'로 치부하기엔 무리가 있다. 화성시의 마음을 고려 않고 대책마저 없었던 사업 주체인 국방부에 일차적 원인이 있다.


하지만 시민들은 답답하다. 양쪽 시민들은 지자체 간 홍보전 등에서 괜한 오해로 마음만 상하는 일이 부지기수다. 협력이 필요한 다른 사업까지 차질을 빚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시민단체들이 양 지자체가 어떻게든 시민과 같이 대화해, 옳고 그름을 따졌으면 한다는 의견을 계속 제기할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어쩔 수 없다"는 식의 답변만 듣고 사는 것보다 훨씬 나을 뿐더러, 새로운 해답을 찾아낼 수도 있다는 심리도 있을 것이다.


신기한 건 사실, 두 지자체 모두 대화를 굉장히 중요시 여긴다는 점이다. 염태영 수원시장과 서철모 화성시장을 비롯해 집행부 전체가 시민 목소리에 귀를 연 상태다. 지자체가 수립하는 '최상위 계획'인 도시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전 시민에게 공개하고, 의견을 받고, 전문가와 함께 토론하는 등의 과정으로 시민의 선택에 초집중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다. 각종 거버넌스 정책 등을 뒤져보면 이들 지자체가 얼마나 많이 시민과 대화하고자 하는 지 그 덕목이 여실히 드러난다.
군공항 이전을 바라보는 시민들은 100% 찬성, 100% 반대처럼 극단적인 선택을 바라는 것은 아니다. 두 지자체가 대화를 통해 지혜를 모아 달라는 것이다. 시민들은 그런 전향적인 태도로 대화하기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양 지자체는 한시라도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