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2030 교통플랜서 4개 노선 밝혔지만
1968년 서울 전차 운행 종료 이후
지난해에야 건설·운영 관한 '3법' 개정
정부發 부산·대전 노선이 그나마 가시화

 

도심 균형발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연계 교통망이라는 과제를 안은 인천의 미래 교통수단으로 트램(노면전차)이 떠오르고 있다.

전차가 멈춰선 뒤로 국내 상용화 사례는 없지만 인천시는 남부순환선,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구간 '인트램' 등의 노선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8일 인천시의 '2030 미래이음 인천 교통플랜' 자료를 보면 2033년을 목표로 원도심과 신도심 간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트램을 도입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시는 트램으로 GTX-B 노선에서 소외된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망을 구축하는 효과도 내세웠다.

지난해 말 공개된 인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2015~2035)에 제시된 6개 노선 가운데 트램은 4개에 이른다.
1~2순위인 서울 7호선 청라 연장선, 인천 2호선 검단 연장선을 제외하면 모두 트램이다.

송도국제도시와 시민공원을 연결하는 남부순환선(13.10㎞)과 경인고속 일반화 구간을 달리는 인트램(22.28㎞), 영종·송도 내부순환선 1단계 사업이 트램 형태로 구상되고 있다.

국내에선 도입 논의 단계지만 트램은 해외에서 보편화한 교통 수단이다.

한국교통연구원 자료를 보면 50여개국에서 약 350개 노선의 트램이 운행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트램 도입을 본격화한 프랑스 파리는 노선 연장이 105.5㎞에 이르고,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과 벨기에 브뤼셀 등지는 트램 노선 길이가 도시철도의 2배가 넘는다.

도시철도망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는 상황에서 트램은 경제성 측면에서도 주목받는다. 트램 건설비는 1㎞당 2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인천 2호선과 같은 경전철 3분의 1, 일반 지하철의 최대 8분의 1에 불과하다.

도시철도 건설이 과다한 건설비로 예비타당성조사 등의 벽에 가로막히는 것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사업 추진도 용이하다.

1968년 서울 전차가 운행을 멈춘 이후 국내에 트램이 상용화한 사례는 없다.

지난 2010년 철도기술연구원이 전선 없이 달리는 무가선 트램 개발에 성공했지만, 트램 건설과 운영에 관한 법적 근거가 담긴 '트램 3법(도시철도법·철도안전법·도로교통법)'은 지난해에야 개정됐다.

정부 시범사업에 선정된 부산 오륙도선, 올해 예타 면제 사업에 포함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등이 그나마 가시화한 노선이다.

인천에서 달릴 트램 역시 갈 길이 멀다.

시 철도과 관계자는 "도시철도망 계획에 들어간 4개 트램 노선은 타당성 재검토 용역이 진행 중"이라며 "추진 여건으로 볼 때 장기적 사업으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관련기사
[월요기획] 인천 트램, 실현 가능성은-'부담' 덜지만 '반발' 넘어야 "캠프마켓(부평미군기지) 주변 군용철도를 없애지 말고 트램으로 재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정유섭 국회의원, 8월23일 당정협의회)"트램 설치를 한시라도 서둘러 쇠락을 거듭하는 연안부두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장정민 옹진군수, 9월6일 인천일보 기고)인천에서도 트램(노면전차) 건설 요구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도입 논의만 분분했던 트램이 최근 주목받는 건 '실현 가능성 높은 철도망'이라는 요인 때문이다. 착공이 가시화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나 서울 7호선 청라 연장선은 사업 추진에서 정부의 예비타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