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을 통과해 동아시아로 이어지는 철도망 구축에 인천이 물류 고속철도망 핵심 도시로 거론돼 관심을 끈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동아시아철도공동체(EARC) 수립과 추진 방안' 연구에서 인천이 동아시아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5시간 생활권의 중심에 자리 잡아 지정학적으로 교역 도시로서의 역할이 주목된다고 밝혔다.

해수부도 인천신항과 북항을 대중 교역 중심항으로 개발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정작 지난달 발표한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에는 물류 확충의 최우선 과제인 인천신항 철도인입선 건설을 담지 않았다. 동아시아철도공동체 취지와 앞뒤가 어긋난다.

지난해 인천항의 컨테이너 처리량은 동남아 물동량이 소폭 증가한 가운데 311만TEU를 기록했다. 부산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컨테이너 교역, 환적이지만 주로 바닷길이 이용됐다. 인천에서 북한 남포 등과의 교역에 철도가 이용된다면 해상로보다 4배 이상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광복절 축사에서 남·북한과 중국·러시아·몽골·일본 등 동북아 6개국과 미국이 참여하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를 제의한 바 있다. 또 올해 3·1운동 100주년 기념행사에서 '신 한반도 체제'의 핵심으로서 남북 종단철도를 이용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남·북한 교통망 확보를 발판으로 대륙횡단열차를 연결하는 철도 실크로드를 통해 통일시대를 열겠다는 의지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 남북대화와 북미협상은 고착 상태에 빠져 있다. 최근 EARC 첫 세미나에 당사국인 북한과 일본, 미국은 정부대표단을 참석시키지 않았다. 현재로선 한반도 경제 도약과 세계 평화를 바라는 EARC사업이 순탄해 보이지만은 않는 대목이다. 지난해 4월 판문점선언에 포함된 경의선, 동해선 철도 사업도 정체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인천신항 철도 설치 등 인프라 구축은 지금부터 준비할 사안이다. 인천시를 비롯한 인천항만공사, 인천해양수산청 그리고 항만업계 등의 전략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동아시아철도망 구축에 대비해 인천은 인천신항 철도 도입 등 미리 기반을 쌓아나가야 하기 때문이다.